<경향신문>은 2일 민주통합당 재심위원회가 공천심사위원회가 4·11총선 단수후보로 정한 지역구 20여곳에 대해 3차 회의를 열어 논의한 끝에 5곳의 재심신청을 받아들였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제주 서귀포시를 비롯한 서울 강북 갑과 금천, 경기 고양 일산 동·고양 일산 서 등은 경선지역으로 분류됐다.
서귀포시는 현역 김재윤 의원이 단수후보로 확정됐었지만, 재심위는 이번 심사 끝에 경선하라고 권고했다.
<경향신문>은 또 재심위 관계자가 “후보 경쟁력을 우선으로 재심사를 벌였다”며 “전·현직이라는 이유만으로 경선을 하지 않은 것을 최대한 막고 공정한 경쟁을 하도록 권고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김 의원은 문 예비후보와 경선을 벌여야 할 처지에 놓였다.
하지만 경선여부가 최종 결정 난 것은 아니다. 재심위의 결정을 당 지도부인 최고위원회가 최종 의결해야 한다.
특히 이날 재심위가 첫 번째로 인용 결정을 내린 대전 유성 지역을 경선지역으로 하는 것을 최고위원회가 기각 결정을 내렸다. 따라서 서귀포시 지역이 경선여부는 이번 주말 동안 최고위 회의를 지켜봐야 되는 상황이다.
물론 현역이라는 프리미엄과 문 예비후보가 현직 의장을 사퇴한 페널티가 반영될 경우 김 의원은 단수후보로 나설 수도 있는 경우의 수도 없지는 않다.
그러나 유리한 고지에 있는 쪽은 문 예비후보다. 최근 본보의 여론조사 등 각종 여론조사에서 김 의원과의 격차가 크지 않았다. 오히려 좁혀지는 추세다. 게다가 중앙당의 공천이 공정하지 못하다는 비판까지 받는 상황에서 중앙당이 재심위 결정을 쉽게 기각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편 문 예비후보는 지난달 29일 민주통합당 제주도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공천심사위원회와 당지도부에 강한 불만을 쏟아냈다. 또 김 의원에게 당당하게 경선에 임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김 의원은 재심위와 중앙당의 결정에 따르겠다며 관망하는 자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