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12일 관제탑 교신 '먹통'으로 불빛관제 ... "사상 초유 원인 파악중"

 

‘제주의 하늘 관문’ 제주국제공항이 12일 마비상태를 일으켰다. 12일 저녁 제주공항 관제시설의 모든 통신장비가 일시에 이상을 일으켜 한때 주파수 송·수신마저 불가능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제주공항 개항 후 처음 있는 일이다.

 

13일 제주지방항공청에 따르면 12일 오후 6시 50분부터 제주공항 관제탑과 접근관제소의 모든 통신장비가 일시에 교신 이상 문제가 발생했다. 한마디로 ‘먹통’이 된 장비는 예비 통신장비를 포함, 관제탑 4대, 접근관제소 6대 등 10대의 통신장비다.

 

관제탑은 공항 반경 5마일(8㎞) 내 항공기의 이·착륙을 관제하는 곳이다. 접근관제소는 제주공역 내를 이동하는 항공기를 레이더로 포착, 관제하는 곳으로 각각 역할이 다르다.

 

일시에 두 곳의 통신장비가 송·수신 이상문제를 일으키며 항공기와 교신장애 현상이 벌어졌다. 게다가 오후 7시 40분에 이르러선 아예 주파수 송·수신 불능 상태까지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제주공항은 통신장비가 정상화된 오후 8시 6∼7분까지 20여 분간 불빛(라이트건)만으로 관제를 하는 위험천만한 상황에 빠졌다.

 

더욱이 접근관제소에선 비상관제 통신장비마저 먹통현상이 나타났다.

 

이 때문에 제주공항 출·도착 항공기 77편이 무더기 지연운항했다. 관제 통신 장비가 정상화된 이후에도 앞선 항공편 스케줄이 지연되면서 마지막 편이 대구공항으로 출발한 오후 11시 20여 분까지 지연운항 사태가 이어졌다.

 

또 제주에 오던 항공기 여러 대가 착륙하지 못하고, 제주 상공을 맴돌다 회항하기도 했다.

 

공항의 관제 통신 시스템은 '주 장비', '예비 장비', '비상 장비' 3단계로 돼 있다. 한 시스템이 이상이 생기면 다음 시스템으로 전환돼 관제가 계속 이뤄지도록 정해져 있다.

 

제주지방항공청 관계자는 "현재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했다“며 ”조작미숙 문제 등 원인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13일 "한국공항공사와 합동으로 제주공항에서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중이며, 현장 근무자의 미숙으로 예비장비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주공항 관제시설의 통신장비가 일시에 이상이 발생한 것은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중간적 장비의 기계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계결함으로 관제탑 4대와 접근관제소 6대 등 10대의 통신장비와 항공기간 신호를 주고받는 체계가 무너져 모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통신장비의 하나인 이 설비는 2004년 도입했고, 사용 연한은 14년으로 현재까지 노후화되지는 않았다.

 

주 장비의 기계 이상 뿐 아니라 관제 시스템 유지를 위한 예비 통신장비로의 즉각 전환도 이뤄지지 않은 것도 관제 마비 사태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예비 통신 장비를 유지·보수하는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의 대응 미숙으로 즉각적으로 예비 장비로 전환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에 따라 통신 장비 유지·보수나 당시 직원들이 대응 근무 등 전환 시스템 운용에 대해 점검을 벌이고 있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