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이권홍의 동양(東洋)산책(6) ... 50에 이르러 다시 생각하는 성찰(2)

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 당선인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그럼 ‘천명’이란 무엇인가? 사전적으로 “우주만물을 지배하는 하늘의 명령이나 원리, 또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가치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풀이한다.

 

더 간단하게 풀어보면 ‘천명(天命)’이란 그냥 글자 그대로 ‘하늘의 명령’일 테고 우리말로 ‘하늘의 뜻’이라고 하면 더 친근하게 다가온다. ‘천(天)’을 굳이 하느님이라 풀이할 필요는 없다. ‘하늘’이면 다 이해가 될 것이기에. 우리가 쓰는 하늘이란 말에는 공간적 개념도 있고 하느님의 개념도 있기에 그렇다.

 

첫째, '天'[하늘]

 

그렇다면 ‘천(天)’은 공자에게는 무엇이었을까? 공자가 직접 설명해준 적이 없다. 그만큼 중요한 것이라면 왜 언급하지 않았을까? 그저 『논어』에서 언급한 다음과 같은 몇 구절에서 공자에게 있어 하늘이란 무엇인지 유추할 수 있을 따름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빌 곳이 없다.”(子曰:獲罪於天,無所禱也.)(「八佾」)

 

기도(祈禱)의 대상이다. 물론 ‘천(天)’을 하늘로 보지 않고 군주를 비유한 것이라 풀이하기도 한다. 공자가 천하를 주유할 때 지방권력을 장악한 어떤 관리가 자신을 섬기는 것이 어떠냐고 물으니 그 위에 군주가 있다는 비유로 대답했다는 것이다. 천년을 이어온 해석이니 이것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술이(述而)」에 자로(子路)와의 대화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인다.

 

공자의 병이 위중하자 자로가 기도[禱]할 것을 청했다. 공자가 “이처럼 기도하는 이치가 있는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자로는 “있습니다. 뇌문(誄文)에 ‘너를 상하(上下)의 신기(神祇)에게 기도하였다’라고 하였습니다”하였다. 공자께서 “나는 기도한 지가 오래다”하셨다.[子疾病,子路請禱.子曰:有諸.子路對曰:有之,誄曰:禱爾于上下神祗.子曰:丘之禱久矣.]

 

‘뇌문’이라는 것은 제문(祭文)으로 죽은 이를 애도하여 그의 행실을 서술한 글이라 하였다. 기도문인 셈이다. ‘신기’란 하늘의 신과 땅의 신을 말함이다. 그런데 공자가 “나는 기도한 지가 오래다”라는 말에 대해 공자는 원래 성인(聖人)이므로 신명(神明)에 합하기에 기도할 필요가 없어서 기도를 일삼을 필요가 없다는 뜻을 가진다고 설명한다. 좋다! 인정한다. 그런데 일삼을 필요는 없다손 공자도 기도는 했다는 말이 아닌가. 설령 기도는 하지 않았다고 강변한다면 그래도 기도를 인정하는 말인 셈이다.

 

다음 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공자는, 하늘과 천명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고, 천명이 있음을 인정하고 천명에 따라 행하는 데는 귀신의 도움이나 보호를 요망할 필요가 없다고 여겼다. 『논어』를 보면, 공자가 한번은 병이 들었는데 그의 제자인 자로가 천지신명을 향하여 기도를 드리며 도움과 보호를 기원했다. 공자는 병이 나은 뒤 자로를 향해 ‘그런 일이 있었냐?’고 물었고 자로는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자 공자는 ‘나의 기도는 이미 오래되었다’고 말했다. 즉 그는 지금까지 모든 일을 예에 맞게 행하였으며 천명을 두려워하며 천명을 따랐으니 그것이 곧 기도였다는 뜻이다. 그는 줄곧 기도를 해 온 셈이었으니, 병이 들었다고 해서 기도해야 하는 것이 아니었다. 다시 말해 공자는 ‘하늘에 죄를 지으면 빌 곳이 없다(獲罪於天,無所禱也)’고 여겼다. 만약 천명을 두려워하지 않고 천명을 따르지 않는다면 그것이 곧 하늘에 죄를 짓는 일이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그 어디를 가서 기도해 보았자 아무 소용이 없다.”(『중국철학사』)

 

이 말에 따르면 공자의 일생이 한 편의 기도였다.

 

이렇듯 공자가 ‘천(天)’을 얘기하면서 죄를 지으면 벌을 받는 대상이요 기도의 대상이라는 관념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공자가 맹세하여 말씀하셨다. “내게 잘못된 짓을 하였다면 하늘이 싫어하리라! 하늘이 싫어하리라!”(夫子矢之曰:予所否者,天厌之.天厌之.)(「雍也」)

 

잘못된 짓을 하는 것은 사람이다. 그럼 하늘은 싫어한다(厭). 싫어하고 좋아하는 인격적(?) 경향의 존재가 하늘이라 볼 수도 있다. 

 

 

원래 인간은 의미를 추구하는 동물이다. 『신화의 역사』를 따라가 보자. 쉽게 절망에 빠지곤 하는 인간은 애초에 이야기를 꾸며냈다. 바로 상상력에 의해서이다. 그 상상력이 종교와 신화를 만들었다. 눈앞에 존재하지 않는 어떤 것, 객관적인 실체가 없는 어떤 것에 대한 생각이다.

 

그래서 모든 문화는 잃어버린 낙원에 대한 신화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그곳에서 신을 접하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았다. 세상의 중심에는 나무나 산 또는 기둥이 있었다. 이것은 대지와 하늘을 이어주었다. 인간들도 이를 통해 신들의 영역에 쉽게 닿았다. 그러다가 대재앙이 일어났다. 중심이 무너졌다. 이제는 하늘에 닿기가 힘들어졌다. 이런 신화는 닿을락말락한 실재한다고 상상하는 ‘어떤 것’에 대한 인간이 가지는 애타는 마음의 표현이라 본다.

 

그래서 구석기시대 신화들 중 ‘하늘’과 관련된 신화가 많다. 하늘은 고대인들 위로 높이 펼쳐져 있었다.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했고 가까이할 수 없는 것이었으며 영원했다. 사람은 아무리 애써도 하늘에 영향을 줄 수 없었다. 벼락, 일식, 월식, 폭풍, 무지개, 운석 등 하늘을 관찰하면 사람들은 염려와 기쁨, 놀라움과 두려움으로 가득 찼다. 하늘은 본래 신비한 것이요, 그 자체로 ‘끔찍하고 무시무시하고 황홀한 불가사의’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부터 사람들은 하늘을 의인화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하늘과 땅을 손수 창조하신 ‘하늘 신’을 얘기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기도를 통해 하늘에게 간청하며 하늘은 그들을 내려다보고 있으며 잘못을 벌하리라 믿었다. 이 패턴이 신화의 일반이다. 

 

이런 하늘이 공자에게 그대로 전이(轉移)된 듯하다.

 

병이 좀 나았을 때 공자는 이렇게 말하였다. “오래 되었구나! 자로가 거짓을 꾸며온 지가! 가신이 없어야 하는데도 가신을 만들어 두었으니! 내가 누구를 속이랴? 하늘(天)을 속이랴?”(病間,曰:久矣哉!由之行詐也,無臣而爲有臣.吾誰欺?欺天乎?) (「子罕」)

 

이렇듯 속일 수 없는 대상이다. 누구를 속이랴? 하늘을 속이랴? 결코 속일 수 없다. 하늘은 그렇게 절대적이다.

 

그리고 공자에게 있어서 하늘은 무엇인가를 부여하는 존재다.

 

공자가 말씀하셨다. “하늘이 내게 덕(德)을 부여해 주셨으니, 환퇴가 나를 어찌하겠는가?”(子曰:天生德於予,桓魋其如予何?)(「述而」)

 

여기의 ‘덕(德)’의 의미는 그리 간단한 게 아니다. 매우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는 ‘천(天)’을 논점으로 하는바 ‘덕(德)’은 논외로 하자. 다만 한자에는 ‘덕(德)’이 ‘득(得)’과 통한다고 봐 얻는다는 뜻을 가지기도 하는데, 도(道)와 덕을 대비하여 사전적으로 도는 일반적으로 진리 자체를 의미하고 덕은 그 진리를 인간이 사고를 통해 지성으로 획득하고 실천을 통해 인격으로 획득한 것을 의미한다. 그런 덕을 하늘이 부여한다.

 

그리고 하늘은 버리기도 한다.

 

안연이 죽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아아! 하늘이 나를 버리는구나! 하늘이 나를 버리는구나!”(顔淵死.子曰:噫!天喪予!天喪予!)(「先進」)

 

‘버리다’라고 해석을 했으나 망하게 하였다는 뜻이기도 하다. 버리기도 망하게도 만드는 존재다, 하늘은! 그러면서 개개인을 평가하기도 한다.

 

공자가 말씀하셨다. “하늘도 원망하지 않으며 사람도 탓하지 않는다. 할 수 있는 노력을 다 하여 위로 나아갈 따름이다. 나를 알아 줄 이는 하늘이리라!”(子曰:不怨天,不尤人.下學而上達.知我者其天乎!)(「憲問」)

 

자신을 알아주는 이는 그 어떤 것도 아닌 바로 하늘이다. 자부심이 가득한 말일 것 같지만 뒤집어보면 자신을 탓하는 말일 수도 있다. 군자(君子)란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성내지(서운해 하지) 않는(人不知而不慍)” 존재라 공자도 포함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사람임에랴.
또 하늘은 말로써 전달하는 주재자가 아니다.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는 성경적 의미도 “나는 이렇게 들었다(如是我聞)”는 불교적 형태도 없다. 공자에게 있어 하늘은 그저 말을 하지 않는다. 그냥 있는 초월적 존재다.

 

공자가 자공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아무 말도 하고 싶지 않구나!” “선생님께서 말씀을 안 하시면 우리가 무엇을 배우라는 말씀입니까?” “하늘이 무슨 말을 하시더냐? 사계절은 운행되고 만물은 생육되지 않는가? 하늘이 무슨 말을 하시더냐?”(子曰:予欲無言.子貢曰:子如不言,則小子何述焉?子曰:天何言哉?四時行焉,百物生焉,天何言哉?)(「陽貨」)

 

말씀이 없이 세상을 순환하게 하고 만물을 ‘생겨나고 생겨나게(生生)’하게 한다. 이처럼 공자에 있어 하늘은 ‘죄를 짓고(벌을 주고)’ ‘빌고(기도하고)’ ‘싫어하고’ ‘속이고’ ‘버리고(망하게 하고)’ ‘알아주고’ 말로 하지 않고 대천세계를 존재하게 하는 주재자(主宰者)로 묘사하고 있다. <3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제주 출생. 한양대 중어중문학과를 나와 중국정치대학교 중문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신종문 소설연구]와 [자연의 아들]·[한자풀이]·[제주관광 중국어회화]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는 제주국제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