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 토평동 공업단지 인근에 장례식장 건립이 추진되면서 이를 반대하는 마을 주민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서귀포시 토평동 공업단지의 항공 사진이다. [네이버 항공뷰 캡쳐]](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417/art_1745283385674_17186d.jpg)
서귀포시 토평동 공업단지 인근에 장례식장 건립이 추진되면서 이를 반대하는 마을 주민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22일 서귀포시에 따르면 장례식장 운영 측은 지난 달 28일 건축허가 신청을 접수했다. 향후 도로·배수 등 기반시설 요건이 충족되면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현재 해당 사업은 건축계획심의를 통과한 상태다.
이번 장례식장은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전체 연면적은 5300㎡, 부지 면적은 9950㎡다. 이는 도시계획심의 기준인 부지 1만㎡ 또는 연면적 5000㎡ 이상 요건과 미묘하게 어긋나는 조건이지만 지하 포함 구조와 법적 기준상 도시계획심의 대상에서는 제외된다.
사업자는 시 지역의 부족한 장례 인프라를 보완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밝히고 있다. 실제로 현재 서귀포시내 정식 안치시설을 갖춘 장례식장은 서귀포의료원이 유일하다.
한빛장례식장이 있으나 이곳은 일반음식점으로 등록돼 조문객 식사 제공 외에는 안치 기능이 없다. 이런 문제로 많은 시민들은 장례식장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서귀포의료원의 경우 빈소는 4개실, 안치 시설은 14구에 불과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장례 공간 부족으로 유족들이 시신을 제주시 장례식장에 임시 안치한 뒤 장례를 치르는 사례도 빈번하게 벌어지고 있다. 의료원도 장례식장 확장을 추진했지만 사유지 매입 문제로 계획이 중단된 상태다.
토평동에 신축 예정인 장례식장은 안치실 24구, 빈소 9실로 계획돼 있다.
하지만 장례식장 건립 예정지 인근 토평동과 영천동 주민들은 사업 추진 과정의 일방통행을 문제 삼고 있다.
마을회, 청년회, 부녀회, 노인회를 비롯한 자생단체들은 "단 한 차례의 주민설명회도 없이 추진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 15일에는 장례식장 건립 반대 서명운동에 참여한 주민 500여명의 서명서가 시에 제출됐다.
청년회 관계자는 "공업단지 조성으로 인한 오랜 불편을 감수해온 주민들에게 또다시 정서적 반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장례시설을 들이려는 시도는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마을 의견이 배제된 채 진행되는 사업 추진 방식은 문제"라며 "향후 공식적인 반대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장례식장 측은 "지역사회와의 협의를 위해 고용창출 및 마을기여 방안을 포함한 다양한 환원 사업을 검토 중"이라며 "향후 주민과의 소통을 확대해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내겠다"고 입장을 전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