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훈 제주지사가 기초자치단체 도입과 관련해 오는 6~7월 중 새 정부의 입장이 정해지지 않으면 주민투표 실시는 물리적으로 어려워질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오 지사가 10일 열린 제주도청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제주도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415/art_17442509506622_4670f0.jpg)
오영훈 제주지사가 기초자치단체 도입과 관련해 오는 6~7월 중 새 정부의 입장이 정해지지 않으면 주민투표 실시는 물리적으로 어려워질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중앙 정치권 내에서는 부정적 기류가 감지되지 않고 있다며 공약 이행을 위한 도입 의지를 강하게 피력했다.
오 지사는 10일 제주도청 소통회의실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기초자치단체 도입 여부는 6월 대선 이후에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본격 가동되는 시점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6~7월 중 방침을 정하면 주민투표 준비는 충분히 가능하지만 8월까지도 결정이 나지 않는다면 물리적으로 투표 실시가 어렵다"며 현실적인 한계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기초자치단체 도입은 도민의 요구를 반영한 공약"이라며 "일부 반대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제주의 미래 발전을 위해 행정체제 개편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또 "정부 방침이 정리되면 기초의원 정수 조정과 선거구 획정 문제도 큰 무리 없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행정체제 개편이 더불어민주당 대선 공약에 포함될 가능성에 대해 오 지사는 "중앙당과 오랜 시간 협의를 이어왔고, 그 과정에서 부정적인 반응은 없었다"며 "개인적으로는 긍정적인 확신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입장이 나오지 않은 만큼 지금 단정적인 답을 내놓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한편 오 지사는 전북 전주시가 추진 중인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와 관련해 "제주에서도 일부 경기가 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올림픽 유치를 응원하고 있으며 내년 제주 전국체전을 계기로 정비되는 체육 인프라가 올림픽에서도 활용된다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제주도 차원에서도 적극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