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부, 중문 색달해수욕장서 바다거북 방류 ... 인공추적장치 이용 연구

 

혼획되거나 부상을 입고 구조된 멸종위기종 바다거북들이 제주에서 치료를 받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해양수산부는 26일 오전 서귀포시 중문 색달해수욕장에서 구조.치료되거나 인공 증식한 바다거북 6마리를 방류했다.

 

이날 바다로 돌아간 거북은 푸른바다거북과 붉은바다거북 각각 3마리다. 이 가운데 4마리는 제주와 경북 울진군에서 구조 후 치료됐다. 나머지 2마리는 수족관에서 인공부화됐다.

 

이 거북들은 모두 활발한 먹이활동 등을 보이는 등 자연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건강상태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방류는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관광객이 적은 시간대에 최소 인원으로 이뤄졌다.

 

방류장소인 제주 중문 색달해수욕장은 1999년, 2002년, 2004년, 2007년 등 과거 바다거북이 여러 차례 알을 낳은 기록이 있는 곳이다. 아울러 주변 해역에 어업용 그물이 적어 그물에 걸릴 위험이 적고, 먹이가 풍부해 바다거북의 주서식지인 태평양으로 이동하기 쉬운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날 방류는 습성을 감안, 바다거북을 모래해변에 놓고 스스로 바다까지 기어가게 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해수부는 이날 방류된 거북 등에 부착한 인공추적장치를 이용, 이동경로를 파악한다. 이후 서식 특성을 연구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고향으로 돌아와 산란하는 바다거북의 특성을 이용, 2017년부터 매년 같은 장소에서 바다거북을 방류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제주에서 방류된 인공부화 3년생 푸른바다거북 한 마리는 올해 초 베트남 해안까지 이동, 정착한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인공 부화하거나 야생에서 구조된 후 바다로 돌아간 바다거북은 지금까지 모두 128마리이다.

 

이재영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작년 여름 고향을 찾아 먼 길을 떠난 바다거북처럼 이번에 방류된 개체들도 드넓은 대양에서 자유롭게 생활하기를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해양보호생물이 건강한 모습으로 우리 바다를 누빌 수 있도록 다양한 보전정책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바다거북은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 연안 개발과 환경오염으로 바다거북의 산란지인 모래해변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 뿐만 아니라 폐비닐, 플라스틱 등의 해양쓰레기는 이를 먹이로 착각한 바다거북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해수부는 국제 연안에 서식하는붉은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장수거북, 올리브바다거북 5종의 바다거북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한 바 있다.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해양보호생물을 포획‧채취 등의 행위를 한 자는 최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국제사회도 바다거북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서식현황 조사, 인공부화 및 방류, 혼획 방지용 그물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