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기업 상당수가 주 52시간 근무제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정부의 최저시급 인상 결정에도 반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주상공회의소가 최근 도내 111개 기업을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 및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지역상공인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에 따른 것이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기업에 미치는 어려움 정도를 묻는 설문결과 “매우 그렇다(30.6%)”, “다소 그렇다(28.8%)” 등 59.4%가 근로시간단축으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해 우려되는 문제점에 대해선 '생산 및 영업 차질(30.3%)'과 '추가고용 비용부담(29.7%)'을 가장 많이 뽑았다.
도내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 대응방안에 대해서 '노사합의를 통한 유연·탄력근로제 도입(36.5%)'을 가장 많이 꼽았다.
주 52시간제 정착을 위한 개선사항으로는 '탄력근로제 기간 확대(24.5%)', '근로시간연장 노사합의 허용(21.5%)', '연장근로 특례업종 확대(20.9%)'로 조사됐다.
정부는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8720원)보다 5.1% 오른 9160원으로 최종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내 기업들은 이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내년 최저임금 인상 수준을 묻는 질문에 “다소 높다(45.5%)” , “매우 높다(31.8%)”가 1.2위를 차지하는 등 ‘높다’는 비율이 전체의 77.3%를 차지했다.
제주상의는 이에 대해 “서비스업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제주지역 기업 여건상 인건비 인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제주상의에 따르면 제주도내 111개 기업 중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이 20% 이상인 기업은 모두 87.3%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대응방안에 대해선 '주 52시간제와 연계한 근로시간 조정(25.7%)'과 '인력재배치 등 고용인원 조정 (24.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최저임금 인상문제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업종·지역별 차등적용(42.2%)'과 '임금보전지원 (35.6%)'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상의는 “코로나19로 위축된 경제환경 속에서 업종.지역 특성을 무시한 일괄적인 최저임금 인상안에 대한 반감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제주상의 관계자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지역 상공업계 피해 최소화 및 고용안정화를 위한 지원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면서 "또 정부에선 업종.지역별 차등적용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임금보전지원 정책을 통해 지역 중소상공인 피해 최소화 및 고용시장 안정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