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평화재단이 “2020년부터 적용되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 시안에 제주4·3사건에 대해 올바르게 기술할 수 있는 학습요소 편제가 달라진 데 대해 환영한다”고 9일 밝혔다.
4·3평화재단은 “제주4·3에 대해 종전에는 검·인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소주제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또는 ‘6·25전쟁’에 배치됨으로써 제주4·3이 ‘정부에 반기를 든 사건’ 또는 ‘6·25전쟁과 관련된 사건’ 등으로 제한된 기술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부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의뢰해 최근에 확정된 최종보고서에는 제주4·3이 ‘8·15 광복과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의 학습요소에 반영됨으로써 4·3의 원뿌리인 분단과 냉전, 1947년 3·1절 발포와 통일운동까지 폭넓게 기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4·3평화재단은 “2020년 3월부터 적용될 새로운 한국사 교과서에 제주4·3을 집필할 때에는 정부위원회가 확정한 법정보고서인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가 그 준거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4·3평화재단은 제주도교육청과 합동으로 4·3의 전국화를 위해서 지난해부터 향후 10년동안 전국 교사 1만명을 대상으로 한 4·3연수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올해에도 1000명의 교원연수를 시행하고 있다. [제이누리=김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