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제주도민과 4·3희생자, 유족 여러분!
제70주년 4·3추념일을 맞아
4·3영령들께 애도를 표하며,
희생자와 유족들께 위로를 드립니다.
대통령신분으로 처음 4·3추념식에 참석해 주시는
문재인 대통령님,
추모의 마음을 모아주시는 내빈과 국민여러분께
제주도민을 대표하여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제주4·3은 대한민국의 역사입니다.
4·3은 분단과 건국 과정에서
수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당한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입니다.
4·3은 오랜 기간 침묵 속에
불명예와 불이익을 겪어오다
많은 사람들의 용기와 헌신으로
진실과 명예를 회복해가는
민주화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또한, 4·3은 위대한 제주도민이 화해와 상생으로
과거사의 아픔을 치유하고,
평화와 인권의 미래 가치를 키워나가는
현재진행중인 역사입니다.
4·3특별법 제정, 4·3진상보고서 채택,
대통령의 공식 사과, 4·3추념일 국가기념일 제정,
4·3추념일의 지방공휴일 지정에 이르는 역사를 써내려온
4·3이 70주년을 맞고 있습니다.
“살암시민 살아진다”
‘살다보면 살 수 있다’는 뜻의 이 제줏말에는
절망의 끝에서 참혹한 세월을 버티며 살아야만 했던
희생자와 유족들의 고통스런 삶이 담겨 있습니다.
우리는 통한의 70년을 눈물로 살아오신
4·3희생자와 유족에게 희망을 안겨드려야 합니다.
이제 제주도민과 온 국민이 함께
4·3의 미래를 열어가야 합니다.
4·3의 역사를 이어 받아 앞으로 국민과 함께
써 나가야 할 과제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국회는 4·3특별법 개정안을
조속히 심사·통과시켜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4·3특별법 개정안에는
공권력에 의한 억울한 죽음에 대한 배상과 보상,
정상적인 절차를 밟지 않은 군사재판의 무효화,
4·3수형인에 대한 명예회복,
진상규명을 위한 추가 진상조사,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 등
4·3 해결을 위한 주요 과제들이 담겨 있습니다.
둘째, 정부는 4·3희생자 추념일의
지방공휴일 지정을 수용해 주실 것을 촉구합니다.
4·3희생자 유족 6만 여명을 포함하여
제주도민 모두가 4·3과 관련지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4월 3일은 제주공동체 모두의 추념일이기도 합니다.
제주도의회의 만장일치 의결을 거친
지방공휴일 지정을 정부는 수용해야 합니다.
셋째, 정부는 4·3유족의 항구적 복지대책을
마련해 나가야 합니다.
4·3희생자와 유족을 위한 공간인 ‘4·3유족복지센터’와
고령자인 희생자와 유족을 위한 ‘의료요양시설’ 건립,
4·3유족들의 자활·자립을 위한 ‘4·3유족공제조합(가칭)’
설립을 지원해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넷째, 정부는 국립 세계평화인권센터 설립과
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적극 지원해줄 것을 요청합니다.
국립 세계평화인권센터 설립은
2005년 제주를 세계평화의 섬으로 지정한 뜻을 살리고,
4·3을 치유한 제주가 세계 평화와 인권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입니다.
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도
2022년을 목표로 추진하겠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제주도민과 4·3희생자 유가족 여러분!
제주 애월읍 하귀리 영모원의 4·3희생자 위령비에는
“지난 세월을 돌아보면 모두가 희생자이기에
모두가 용서한다”는 문구가 새겨져 있습니다.
4·3의 아픔을 화해와 상생으로 승화시키고,
평화와 인권의 시대로 나아가고자 하는
4·3정신을 대변해주고 있습니다.
제주는 4·3의 아픔을 치유하며,
평화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온 역량을 토대로
세계평화의 섬으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4·3영령들께서도 제주가
한반도를 넘어 세계로 평화정신을 전파하는
진원지가 될 수 있도록 굽어 살펴주실 것입니다.
제70주년 4·3추념식에 함께해 주시는
모든 분께 감사드리며,
4·3영령들의 안식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