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해 총리실 기술검증위원회 결과에 대해 강정마을회 등 반대단체들이 "더이상 문제를 은폐하지말고 설계상의 오류를 인정하라"며 재검증을 촉구했다.
강정마을회와 군사기지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대책위 등 4개 단체는 17일 오후 4시 제주도청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해군기지 공사 중단과 기술 재검증을 주문하고 나섰다.
기자회견에는 강동균 강정마을회장과 고권일 해군기지반대대책위원장, 홍영철 제주참여환경연대 공동대표, 배기철 제주주민자치연대 대표와 강정마을 주민 30여명이 참석했다.
반대 측은 기술검증위원회 결과에 동의하면서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납득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풍속 값과 기본설계 유지 등 기술검증위가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기술검증위는 강정 앞바다의 바람세기(풍속값)를 10분간 최대치인 26.2m/sec를 적용하지 않고 1년 간 평균 최대치인 16.3m/sec보다 모자란 14m/sec를 적용했다.
강동균 강정마을 회장은 "크루즈 선박 입·출항 시뮬레이션은 터무니없게 7.7m/sec를 적용했다"며 "기상조건이 아주 양호하지 않으면 크루즈선박 입·출항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해군본부에서 2010년 1월에 조사 발간한 '제주해군기지 시설공사 조사 및 실험보고서'에 1만 7000t급 대형 수송함(15만t 크루즈선박의 1/9정도의 배수량)조차 연간 평균풍속 최대값보다 다소 부족한 15.2m/sec를 적용했다.
강 회장은 "해군본부 시뮬레이션에서도 진입항로를 통항할 때 선체가 저속 항해를 하게 되는데 풍압에 의해 떠밀려 통항자세를 확보하기 어렵다"며 "해군이 보유한 함정조차 자체동력으로 자유롭게 입출항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군함보다 9배나 큰 크루즈 선박은 오히려 낮은 값을 적용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기술검증위를 겨냥해 "해군기지 설계가 선회장 규모, 풍속, 횡풍압면적, 항로법선 등 모든 항목에서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오히려 설계변경범위를 기본설계에서 바꾸지 않는 범위로 축소하고 있다"며 "관계법령을 바꾸는 것을 제안하는 등 문제점을 감추기 급급하다"고 지적했다.
강 회장은 "해군기지 설계가 문제가 있는데 관련 법령을 개정해 추진하는 것이 말이 되냐"며 "사업 하나 잘못되면 법령을 바꾸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