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도, 골재수급난 해소책 마련 ... 연말까지 골재자원조사도 착수

 

 

먹는샘물 제주삼다수를 생산하는 제주지방개발공사가 골재개발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공영개발 방식의 골재채취다.

 

제주도는 건설자재의 안정적 수급을 위해 제주도개발공사가 골재개발사업에 참여, 공영개발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건축·개발이 제주도내에서 가속화하고 있지만 골재수급난이 이어진 이유 때문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연도별 골재 공급량 및 공급예상량은 2013년 247만㎥, 2014년 257만㎥, 2015년 283만㎥에 이어 2016년 378만㎥, 2017년 438만㎥, 2018년 509만㎥으로 추정된다.

 

이 추세대로라면 제주지역 연도별 골재채취 허가 잔량은 2016년 987만㎥, 2017년 549만㎥, 2018년 40만㎥으로 2019년부터 골재공급난이 예상된다.

 

도는 채석장 선정·인허가 등 골재생산 전 과정을 공영개발로 하고, 일정부분 위탁생산(OEM)해 민간업체도 같이 참여하도록 할 방침이다.

 

위탁생산(OEM)과 관련해 개발공사는 채취장 선정, 인·허가, 원석생산 과정을 거쳐 민간업체에서 OEM방식으로 생산 후 공사가 골재를 공급하는 방안이다.

 

6월부터 12월까지 우선 한국수자원공사에 의뢰(7억원)해 골재부존량 및 개발가능량 산정, 골재 부존특성, 개발여건 평가 등 골재자원조사를 실시한다.

 

이어 내년 1월부터 8월까지 골재채취 공영화 타당성조사 용역을 실시, 제주도개발공사가 직접 운영할 지, 자회사를 설립 후 운영하게 될 지 결정하게 된다.

 

제주도는 환경영향평가, 개발행위허가, 산지관리심의, 골재채취 인허가 지원을 위해 협업부서와 행정시가 참여하는 행정지원팀을 구성·운영해 골재공영개발에 따른 행정절차를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양성필 제주도 건설과장은 "골재채취가 제주도개발공사에서 공영개발방식으로 추진되면 건설공사 공급물량에 대한 수급조절이 가능하고, 공급가격이 안정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