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선정 문제로 논란을 빚었던 제주 제2공항이 이번엔 다량의 묘 이설이란 새로운 딜레마에 봉착했다. 무려 2000기가 넘는 묘를 이전해야 할 상황이어서 고심이다.
8일 서귀포시에 따르면 제2공항 예정 부지인 성산읍 온평리, 신산리, 수산리, 난산리, 고성리 등 5개 마을에 안장된 묘지는 2200기에 이른다.
제2공항 조성공사 착수와 함께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할 묘들이다.
시는 일단 성산읍 수산리 공설묘지를 이전 장소로 택한 상황.
제주도 유일의 광역화장장인 양지공원의 경우 2018년 만장(滿場)이 예상돼 제3봉안당 건립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위치도 성산읍 지역과는 거리가 먼 제주시에 있어 성산읍 수산리를 지목한 것이다.
시는 성산읍 수산리 공설묘지에 1만㎡규모의 자연장지와 연면적 660㎡ 규모의 봉안당을 조성할 방침이다.
문제는 예산확보다. 시 예상으론 자연장지 조성과 봉안당 조성 등엔 각각 14억원씩 모두 28억원의 예산이 든다.
시는 이 가운데 8억4000만원은 지방비로 충당하고 나머지 19억6000만원은 정부에 요청할 예정이다.
하지만 더 큰 문제도 똬리를 틀고 있다. 묘지이설을 위한 보상비용이다.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최종 용역보고서에서 밝힌 이설대상 묘지면적은 10만9708㎡, 용지 보상비는 56억9100만원이다.
문제는 이 보상비를 확보한다 하더라도 현재 성산읍 다수의 주민들이 제2공항 추진을 반대하는 입장이어서 순조로운 보상과 이전이 가능하겠느냐는 것. 법적으로 강제수용이 가능하지만 상당한 진통이 뒤따를 것이라는 예상이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무엇보다 이설할 대체묘지를 확보해야 적당한 설득과 보상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서귀포시의 최우선 과제로 시책을 준비중“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현 제주공항 수용능력이 2018년 포화가 예상되자 2025년까지 성산읍 495만㎡ 부지에 사업비 4조1000억원을 들여 길이 3.2㎞ 활주로와 여객터미널을 갖춘 제2공항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부지가 성산읍 지역으로 확정됐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