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귀농인을 위한 교육시설로 쓰이던 제주도농어업인회관 내 교육장 폐쇄를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농민단체들이 “아무런 사전 협의 없는 갑질”이라고 반발하자 농업기술원 측이 사전 내용을 알려줬고 대체 시설이 있어 무리한 요구“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한국농업경영인제주도연합회와 한국여성농업인제주도연합회는 17일 성명을 내고 “제주도농업기술원이 ‘갑질’ 행테를 일삼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제주도농업기술원이 66㎡ 규모의 교육장을 폐쇄, 총무과 시설관리팀을 위한 사무실로 꾸미기로 한 결정이 “납득할 수 없는 처사이자 일방적인 결정”이라는 것이다.
이들 단체는 “농업기술원이 농민단체를 상대로 한 일방적이자 악의적인 ‘갑질’ 행태에 불과하다”며 “하루아침에 일방적으로 교육장을 폐쇄하고 자신들의 사무실로 쓰겠다는 것은 약자인 세입자를 길거리로 내쫓는 부도덕한 행위”라고 꼬집었다.
이어 “힘의 논리로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한 농업기술원의 이번 행태는 비판받을 수밖에 없다”며 “교육장을 임의로 폐쇄하고 총무과 사무실로 임의 변경한 데 대해 원상 복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농민단체를 상대로 힘의 논리를 추구하며 일방적인 작태를 보이고 있는 농업기술원은 농어업인회관의 건립 취지를 되새기고 소통과 협의의 태도를 가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농업기술원의 입장은 완전히 다르다.
지난 14일 농민단체 임원에게 사실을 알리는 등 사전협의를 했고, 대체 교육시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황당한’ 주장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제주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1996년 지어져 회관이 낡아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기존 공무직 한명이 관리하던 시스템에 4명 체제의 시설관리팀을 둬 관리를 더 강화하고자 했다”며 “추가 인원이 근무할 만한 마땅한 사무공간이 없어 현재의 1층 교육장은 폐쇄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1층 교육장이 사라지지만 2층에 170여㎡로 현재의 교육장보다 규모가 더 크고 앰프시설까지 갖춘 대체 교육시설이 있다”며 “그런데도 ‘갑질 행태’라는 등의 비판은 도무지 수용하기가 어렵다”고 반박했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