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감귤연합회는 지난 14일 제주도가 발표한 '감귤 구조혁신 방침‘과 관련 "제주도는 빠른 시일안에 세부실행계획과 비상품 유통 차단 대책을 마련하라"고 21일 요구했다.
연합회는 이날 제주감귤농협과 지역 농협 조합장 등 20개 조합장들이 참가한 가운데 제주 감귤 현안 업무 회의를 갖고 이 같이 밝혔다.
조합장들은 이날 '제주도정의 구조혁신방침 발표에 즈음한 우리의 입장'을 통해 "감귤산업의 위기극복을 위한 경쟁력 강화 요구는 날로 증대됐다"며 "이에 막대한 예산이 감귤에 투입됐으나 감귤의 품질은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며 우선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이어 "지난 14일 원희룡 도정이 감귤산업의 문제를 직시해 새로운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고품질 감귤 안정생산 구조혁신 방침을 발표했다"며 "이는 제주농업의 사활이 걸린 문제로 생각돼 세부실행계획 수립 때 생산농가와 생산자단체, 농업인단체 의견을 수렴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비상품 수매를 단계적으로 시행해 감귤 농가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비상품 유통 차단에 따른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라"며 "이번에 발표한 방침에 대한 실행계획수립·시행 때 농가의 소득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라"고 촉구했다.
김성언 회장은 이번 대책과 관련 "향후 제주도와 조율하면서 실행 계획이 감귤 농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 14일 가공용 감귤(비상품) 수매가격 차액 제주도 보전액인 ㎏당 50원 지원을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감귤 유통혁신방침을 발표했다. [제이누리=이재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