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을 떠나 출항길에 오른 게 꼭 1년 전. 세월호 참사의 단원고 수학여행단이 그토록 가고 싶었던 제주의 관문 제주항에 추모행렬이 뒤따랐다.
16일 오후 1시 제주항 국제여객선터미널 광장에서 제주도교육청이 주관으로 세월호 참사 1주기 추모식('잊지 않겠습니다')이 열렸다.
참사 생존자들과 이석문 교육감을 비롯해 원희룡 지사, 구성지 의장 등 도의원들과 학생·학부모·교직원 등 500여명이 현장을 지켰다.
당시 생존자이자 여러 학생을 구해 ‘파란바지의 의인’으로 불린 화물차 기사 김동수 씨등도 추모식에 참석, 눈물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 교육감은 이날 '아이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제주교육'을 선언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만 잊지 않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아이들과 눈을 맞추며 사랑할 수 있는 일상도 소중히 여기고 잊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세월호를 추모하며 제주 교육을 ‘희망 교육의 숲’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원 지사는 추모사에서 “지금 제주항에 부는 바람은 저 멀리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라며 “희생자들이 부디 하늘나라에서 편히 쉬길 바라며, 뜻을 받들어 안전한 제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구 의장은 “벚꽃이 바람에 날리고 우리는 다시 세월호를 생각한다. 세상을 바꾸기 위해 모두 동참하고 노력하고, 도와 달라”고 당부했다.
학생 대표로 추모사에 나선 제주고 김예지 학생은 “밤하늘의 별이 되어버린 아이들과 어른들을 기억하기 위해 우리는 이 자리에 모였다.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 일어났다. 오늘 하루 만큼은 많은 눈물이 필요하다”며 눈물을 훔쳤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중남미 순방 출국 직전 진도항을 찾아 대국민 발표문을 통해 “가능한 빠른 시일 내 세월호를 인양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은 진도항에 설치된 임시 분향소를 폐쇄하고 진도항을 떠났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