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도 "사양관리·비육…맞춤형 사양관리 프로그램 개발"

멸종위기에 놓인 제주흑우의 개체수를 늘리기 위한 맞춤형 사양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농촌진흥청은 제주흑우의 대량증식과 산업화를 위해 올해 수정란 100개와 정액 700str를 농가에 보급한다.

 

현재 3마리에 불과한 씨수소를 내년까지 7두 이상 확보해 정액 보급을 확대한다.

 

도는 농가가 보유하고 있는 품질이 좋은 송아지들을 구매해 우수축군집단을 조성한다.

 

현재 멸종위기에 놓인 제주흑우는 1200여 마리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중에서도 순수제주흑우 등록두수는 400여두 내외로 보존된 대체수가 얼마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은 우수한 씨수소를 선발해 우수정액과 수정란을 생산해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18개월 된 제주흑우의 평균 체중은 302.63kg, 월평균 증체량은 17.7kg에 불과하다. 18개월 된 일반한우의 경우 체중이 454.97kg, 월평균 증체량은 24.5로 제주흑우는 일반한우에 비해 발육성적이 크게 떨어진다.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은 제주흑우의 이어한 특성을 고려해 성장단계별 적정영양소 공급에 대한 연구를 시작해 사양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 고문석 장장은 "제주흑우의 보존 개체수가 적어 소수집단에서 올 수 있는 근친에 의한 피해가 나타날 수 있다"며 "제주흑우의 정확한 유전정보를 탐색하고 교배를 수립해 개량의 기틀을 확립시켜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 장장은 이어 "제주흑우는 국가차원의 유전자원으로 보존하고 개체수를 늘려나가기 위해 제주흑우에 적합한 육종과 사양관리 및 비육 등에 대한 프로그램 등을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