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건설과 관련, 국토교통부가 환경부에 제출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재보완서의 내용이 부실투성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비상도민회의)는 이날 오후 2시 제주시 민주노총 제주지역본부 사무실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국토부의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재보완서를 검토한 결과, 요약된 내용으로는 보완조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검증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지난 25일 전략환경영향평가의 보완서 내용을 요약한 '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주요 재보완 사항'을 제주도와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배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찬식 비상도민회의 상황실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시민사회는 물론 국회의원들까지 나서서 전략환경영향평가 보완요구서와 보완서 공개를 요구해 왔다. 하지만 국토부는 1차에 이어 이번에도 요약 내용만 공개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요약된 내용만으로는 보완조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검증하기 어렵고, 국토부가 공개한 요약 내용만으로도 이번 재보완 역시 부실 투성이임이 확인되고 있다"고 했다.
비상도민회의는 일례로 공항예정지와 인접한 철새도래지와 관련한 조사가 겨울철부터 봄철까지 이뤄졌음을 지적했다.
이 단체에 따르면 조사지역 상당수는 오름이나 내륙습지 등 내륙지역이기 때문에 조사 적기는 여름철이다. 그러나 조사에는 여름철이 포함되지 않아 산림지역의 여름철새 현황조사가 빠졌다는 것이다.
아울러 요약된 보완서에 따르면 제2공항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에 따라 이착륙 가능비율을 남쪽으로 80%, 북쪽으로 20% 적용한다. 비상도민회의는 이에 대해 “국토부의 항공기 안정성과 배치되는 이.착륙 항로를 설정한다는 계획은 비상식적”이라는 견해를 내놓기도 했다.
제주 바람의 주풍인 북서풍과 항공기 이착륙 방향 비율을 반대 방향으로 설정한다는 것 자체가 위험하다는 것이다.
비상도민회의는 이외에도 ▲조류충돌 모델 분석 결과의 문제 ▲항공기-조류 충돌 위험성 ▲법정보호종 등 주요 동물 서식실태 조사 부실 ▲숨골 관련 대책의 문제 등을 지적했다.
이영웅 비상도민회의 사무처장은 "제주 제2공항 건설계획은 적정성을 갖지 못한다"면서 "성산 후보지의 입지 타당성뿐만 아니라 제주도의 환경수용력과 지속가능성, 현 제주공항 개선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도민여론조사에서 확인된 제주도민의 의견은 제주의 환경수용력 한계로 인해 극심한 생활환경 악화에 따른 일상적 피해와 불편, 기후위기 등을 고려할 때 제주 어디에도 제2의 공항은 필요없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제주도기자협회 소속 9개 언론사는 앞서 지난 2월 15~17일 한국갤럽과 엠브레인퍼블릭 등 국내 여론조사기관 2곳에 의뢰, 전체 도민을 대상으로 제2공항 건설 찬성·반대 여부를 조사한 바 있다.
결과는 반대가 47.0%(한국갤럽)·51.1%(엠브레인퍼블릭)로 찬성(한국갤럽 44.1%, 엠브레인퍼블릭 43.8%)을 앞섰다.
반면 성산읍 주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별도 조사에서는 찬성이 64.9%(한국갤럽)·65.6%(엠브레인퍼블릭)로 반대(한국갤럽 31.4%, 엠브레인퍼블릭 33.0%)를 오차범위(각각 ±4.4% 포인트, ±4.38% 포인트) 밖에서 앞섰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6일 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와 관련, "국토부가 재보완서를 보냈다는 것까지는 알고 있다"면서 "지역 국회의원이 제주공동체 내에서 갈등을 줄여가는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하니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