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가 의료계의 집단휴진에 대해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는 31일 오후 제주도의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한전공의협의회를 향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의료현장에 복귀하기를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보건복지위는 "최근 서울 및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대규모 대유행이 우려되고 있고 제주도 내에서도 확진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일촉즉발의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며 "이외에도 전공의들이 대거 현장을 떠난 수도권의 대형병원에는 의료대란 수준의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고 꼬집었다.
보건복지안전위는 "현재 의료계는 ‘국민의 목숨줄을 쥐고 파업한다’는 비판 여론에 직면해 있다"며 "또 정부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의료계를 압박하며 정책을 밀어붙였다는 우려의 시선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모든 국민은 자신의 건강을 국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며 "의료계 집단휴진과 그로 인한 진료 거부·지연은 환자의 진료수급권을 침해하는 행위다. 의사들의 업무 중단으로 응급환자들이 사망하고 중증환자들의 치료가 지연되는 상황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에 의료계는 정부와 열린 자세로 논의해야 한다"며 "하루 빨리 의료현장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제주도는 의료공백 가능성에 대비해 적절한 진료 대응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코로나19 대유행이 감지되고 있는 위중한 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우리 모두 합심하여 협력하는 것"이라며 "이에 안전한 제주도가 될 수 있도록 대한전공의협의회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의료현장에 복귀하기를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정부의 4대 의료정책인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육성에 반대하면서 지난 30일 무기한 파업을 결정했다. [제이누리=고원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