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형성시기가 약 8000년 전으로 확인됐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만장굴을 비롯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가 약 8000년 전에 형성됐음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지금까지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형성시기와 관련해서는 논란이 있어 왔다.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2000년대 초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준비과정에서의 연대측정 결과 약 20만년에서 30만년 전에 형성된 비교적 오래된 용암동굴로 인식됐다.
이 당시에는 기존 화산암을 직접 분석하는 연대측정법인 K-Ar연대측정 방식이 사용됐다.
하지만 세계유산본부의 전신인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이 2016년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연대측정 등을 통해 거문오름 용암동굴계가 약 8000년 전에 형성됐을 것이라는 젊은 연대결과를 보고했다.
여기에서의 연대측정법은 용암류 하부의 고토양을 분석하는 연대측정방법이 사용됐다.
하지만 이 새로운 연대측정 방식에 대해 학계의 신뢰가 크지 않았고, 기존 형성시기와 새로운 형성시기의 차이가 커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형성시기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한라산연구부는 이에 따라 기존 논란을 해소하고 거문오름의 형성시기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 제3의 새로운 연대책정법을 적용, 거문오름이 오차범위 1800년 범위 내에서 약 9천년 전에 형성됐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번 연대측정법은 만장굴 내부 용암에 박혀 있는 규암을 분석한 결과다. 이는 한라산 일대의 백록담과 삼각봉, 영실 등 한라산 주요 오름들의 형성시기를 밝히는데 활용된 분석법이기도 하다.
한라산연구부는 2016년 당시 8000년 전 형성이라는 결과가 이번 결과의 오차범위 내에 포함돼 있어, 이번 결과가 2016년 당시 결과를 확인해주는 것으로 판단했다.
안웅산 한라산연구부 연구사는 “이번 연구는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형성시기를 보다 명확히 재확인했을 뿐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직접 연대를 측정하기 어려웠던 일부 용암류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연대측정 기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향후 제주오름들의 연대측정에 확재 적용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결과는 공동연구를 추진해 온 호주 커틴대학팀과 국제학술지에 투고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제이누리=고원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