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 학생문화원 부지를 통과하면서 논란이 됐던 서귀포시 도시우회도로 개설사업이 곧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지상차도로 간다.
교육청에서 학생문화원 부지의 지상도로 개설에 지속적으로 부정적 입장을 보이면 행정은 강제수용 카드를 꺼내들고 도로를 낸다는 방침이다.
제주도는 서귀포시 도시우회도로 개설사업 실시계획을 고시하고 이르면 7월 착공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서귀포시 도시우회도로는 서귀포시 토평동 삼성여고 인근 사거리에서 호근동 용당 교차로까지 이어지는 도로다. 전체 구간은 4.2km로 총 예산은 1237억이다.
하지만 이 도로 공사 움직임이 감지되자 도내 곳곳에서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지난 4월에는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제주도가 4.2km의 구간을 세 단계로 나눠 환경영향평가 피하기 꼼수를 쓰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했다. 2km 이상이 환경영향평가 대상이지만 이를 피하기 위해 공사구간을 3개 구간으로 쪼갰다는 것이다.
또 다른 논란은 이 도시우회도로가 서귀포시 학생문화원 앞을 지나가면서 그 일대 잔디광장을 관통한다는 점이다.
도로가 만들어질 경우 잔디광장이 사라지는 것은 물론 학생들의 교통안전 역시 위협받는다는 지적들이 나왔다.
결국 도교육청은 인근 교육기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교통안전과 학습권 보장 등을 위해 제주도에 잔디광장을 관통할 예정인 구간 350m에 대해 지하차도로 만들어줄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인근 지역 주민들은 이 구간을 지하차도로 만들 경우 도로 진입에 어려움이 있고, 지역발전 등을 위해서라도 지상차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반발, 지하차도에 반대하고 있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도는 교육청의 지하차도 개설 제안에 따라 검토작업을 거쳤다. 하지만 조사결과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여기에 지상차도 개설을 요구하는 일부 주민들의 반발이 더해지면서 제주도는 당초 계획인 지상차도 개설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정했다.
다만 도교육청의 반발은 여전한 상황이다. 도시우회도로가 관통하는 구간에 학생문화원은 물론 서귀포외국문화학습관과 서귀포고등학교 등이 자리 잡고 있어 학생들의 안전과 관련, 불안요소가 남아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도는 도교육청에서 끝까지 토지매각을 거부할 때에는 강제수용절차를 거쳐 지상차도를 개설한다는 방침이다. [제이누리=고원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