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보건환경연구원 3차조사 결과 ... "수질오염 대책 시급"

 

제주 서부지역에 '지하수 오염'  경고등이 켜젺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세번째 도내 지하수 오염도 조사 결과 질산성질소가 기준치를 초과한 곳이 3군데 더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10월에 실시한 3차조사에 따르면 한림과 한경지역의 지하수 오염이 가장 심각했다. 먹는 물 기준치인 10 mg/L 이하를 초과한 7곳 중 6곳이 두 지역에 집중됐다.

 

지난 3월과 7월에 실시한 1·2차조사에서는  한림과 한경지역에서 3곳, 서귀포 지역 1곳에서 초과 판정을 받았다.

 

조사는 1차(갈수기) 때 108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졌고, 2차부터는 128개소 농업용 공공관정으로 늘어났다. 또 2차 조사부터는 관측정간 거리 및 액비살포지, 축산농가 분포 등을 고려해 질산성질소 등 60개 항목의 수질모니터링을 통해 연도별·지역별 수질변화 추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하수 오염지표 항목으로 사용하고 있는 질산성질소의 지역별 평균 농도는 서부지역이 4.5 mg/L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동부 2.7 mg/L, 남부 2.0 mg/L, 북부 1.2 mg/L 순으로 조사됐다.

 

오상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3차 조사에서 질산성질소 농도가 높은 이유는 10월 강우량이 7~ 8월의 강우량보다 많아 표층 오염물을 지하수로 운반하는 강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진단하면서 "하지만 제주 지하수가 나날이 오염되고 있는 수치는 틀림없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 우려했던 휘발성물질 및 법정농약 성분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염소이온과 기타 중금속 항목 등도 모두 수질기준 이내의 수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침투 여부를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염소이온의 경우 전체 평균값은 12.0 mg/L로, 지하수 수질기준인 250 mg/L보다 훨씬 낮은 수치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동부, 서부, 남부 및 북부가 각각 16.7 mg/L, 13.9 mg/L, 7.4 mg/L 및 8.3 mg/L로 나타났다. [제이누리=권무혁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