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주한 미해군사령관 이임 인터뷰, '제주' 없는 원론 답변에 '미 해군용' 해석 파장

 

주한 미해군사령관이 이임식 인터뷰를 통해 밝힌 내용이 뒤늦게 제주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다분히 원론적인 언급을 입장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고 이해함으로써 제주해군기지의 사용에 대한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는 셈이다.

 

그동안 쌓인 불신이 새롭게 드러나는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논란의 발단은 지난 5일 리사 프란체티(Lisa Franchetti) 주한 미해군사령관이 이임식 인터뷰에서 언급한 내용을 모 언론사가 "미 해군은 현재 제주에 건설중인 대한민국 해군기지에 미해군의 항해와 훈련을 위해 군함 파견을 원하고 있다"는 보도다.

문제는 인터뷰 내용의 원문에는 제주에 대한 언급이 일체 없다는 점.

인터뷰 당시 프란체티 소장은 기자의 질문에 "나는 우리가 방문할 기회가 있는 어느 항구든 우리 해군에게는 대한민국 해군과 함께 일할 큰 기회라 생각한다"(I think any ports that we have the opportunity to visit will be a great opportunity for our navy to do work together.)고 답했다.

프란체티 소장은 이어 "우리의 군함이 기항할 수 있는 어느 항구든 우리에게는 항해의 자유와 훈련을 위한 커다란 기회가 될 것"(Any port that we are able to bring our ships to, we will take advantage of that for great (navigation) liberty and great training.)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답변에 대해 이 언론은 "미해군 7함대는 사실상 대한민국 항구에 미전함 입항을 선호한다"고 해석하고 프란체티 소장의 언급이 "지정학적으로 민감한 해양지역에 미해군이 관여하겠다는 미국의 의도를 강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 어디든 배를 보내고 싶다는 것은 제주도 역시 예외가 아니다"라는 뜻으로 해석했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보도가 나가자   강정 민군복합항을 반대해 온 사회단체들은 현정부와 제주도에 대해 강력한 비판과 함께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강정마을회, 제주 군사기지 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 대책위원회, 제주해군기지건설 저지를 위한 전국대책회의는 13일 성명을 내고 "프란제티 전 사령관의 발언은 미군기지 사용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점에서 그동안 제기되어 왔던 제주해군기지의 미군기지화 가능성을 확인해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미 항공모함이 들어오면, 서남 방파제 크루즈 계류부두를 항모가 사용하게 돼 제주해군기지를 15만톤 크루즈 2척이 동시 접안할 수 있는 민군복합항으로 건설하겠다고 장담해 온 정부와 해군의 주장이 대국민 사기극으로 그칠 공산도 매우 크다"고 주장했다.

 

성명은 "정부는 물론 제주도민의 안위를 책임져야 할 원희룡 제주도정은 이에 대해 어떠한 입장표명도 하지 않고 있다"며 " 원희룡 지사 역시 미군의 전쟁기지로 변모할 수밖에 없는 이 사안에 대해 분명한 반대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건설사업단(해군)은 14일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제주해군기지)의 미군기지화 가능성을 일축했다.

 

해군은 이날 성명을 통해 "강정마을회와 일부 시민단체가 주장하는 ‘민군복합형관광미항의 미군기지화’ 가능성은 전혀 없다"며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은 대한민국 해군의 기동전단과 15만t급 크루즈선 2척이 동시에 기항할 수 있는 항구로 설계돼 공사 진행 중이며, 완공 시 민과 군이 공동으로 함께 사용하게 될 항구"라고 밝혔다.

 

이어 "동맹국인 미군 함정이 제주민군복합항에 일시적으로 기항할 수 있다"며 "이러한 일시 기항은 중국, 일본 등 어느 나라든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해군은 "우리나라 해군 함정도 청해부대 작전, 사관생도 순항훈련, 림팩훈련 기간 중 외국 항구에 기항하고 있다"며 "이를 두고 한국의 군사기지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군 함정이 일시 기항한다고 곧 미군의 군사기지로 된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해군기지 반대 단체의 주장을 반박했다.

 

또 해군은 "민군복합항이 ‘미 핵추진 항공모함과 잠수함이 사용 가능하게 설계됐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도는 현재 인터뷰 원문의 내용에 제주에 대한 언급이 없는 상황에서 논란의 확산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인터뷰 내용에서 제주에 대한 언급이 없고  해군 등도 입장을 밝힌 상황에서 제주도가 이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인터뷰 내용을 파악한 결과 원론적인 수준의 언급인데 이를 확대 해석할 내용은 전혀 아니다"라며 "불필요한 오해와 해석으로 인해 불신을 키워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이재근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