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연안해운업 진출을 위해 최근 팀장 1명과 팀원 2명으로 특별전담팀(TF)을 구성했다. 수협이 사업을 맡게 될 경우 지난해 4월 세월호 사고 이후 끊겼던 인천~제주 뱃길이 다시 열리게 된다.
수협 관계자는 "스웨덴 선사측으로부터 해운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타진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직까지 결정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수협의 판단엔 여론도 작동했다. 세월호 사고 발생 이후 영리만 추구하는 기업이 여객선 운항을 맡아 사고가 났다는 여론과 함께 공공성을 띤 기관이 선박을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준공공성을 띤 수협중앙회가 해운업에 진출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는 것이다.
수협 관계자는 "인천~제주 바닷길이 끊겨 수산업 종사자들이 물류 문제로 많은 민원을 제기해 왔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해운업 진출을 위한 TF팀을 구성했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이어 "수산업 종사자들의 요구와 제주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무언가 역할을 해야한다는 내부적 공감대가 있다"며 "제주노선의 사업타당성과 투자 가능성을 전반적인 측면에서 철저히 검토, 이른 시일안에 사업 진행 준비를 하겠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일부 도서에서 농협이 여객선 사업을 하는 것처럼 수협도 여객선 사업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여객선 사업을 하려면 공모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법적 기준에 충족하면 수협이 공모절차를 밟을 수 있으므로 사업면허를 취득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이재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