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50% 이상 피해지역 대상 1500ha ... 전수 조사후 대대적 추진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지역의 피해우려 나무가 전부 제거돼 향토수로 대체된다. 제주도 숲 지도가 바뀔 전망이다.

제주도는 소나무재선충병 50% 이상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피해 우려가 있는 나무를 전부 제거해 목재로 활용하고, 나무가 제거된 곳은 지역특성에 맞는 향토수를 심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제주도가 수종갱신 사업 대상지 선정을 위한 분석 결과, 현재 재선충병 피해면적은 해송림 전체면적 1만6284㏊의 43.5%인 7088㏊, 이 중 심(深)지역은 1501㏊· 중(中)지역은 3142㏊·경(輕)지역은 2445㏊로 조사됐다.

수종갱신 대상지는 이 중 극심지역 약 1500㏊로 생목벌채비 525억원·조림비용 134억원 등 모두 659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율이 50% 이상인 지역을 대상으로 이달 말까지 전수 조사를 마치고, 대상지를 확정한 후 산주인의 동의 절차를 밟아 벌목을 대대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목재가공업체에 대해 벌채 산물의 무상 공급 대신 생목 벌채비용의 자부담을 조건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협의 중이다.

도는 생목은 벌채해 원목 생산자가 가져가고 벌채비용 및 부산물 수집운반 비용은 원목 생산자가 부담하도록 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재선충병 피해구역내 수종갱신을 위해 벌채목의 이동금지 때문에 원목 사용이 불가함에 따라 산림청에 제주도의 긴급성을 감안해 한시적으로 이동이 가능 할 수 있도록 요청하고, 관련 법조항의 개정을 건의했다.

도는 새로운 수목을 심고 새로운 숲을 조성기 위해 향후 3년간(2016~2018년) 134억원을 투자해 450만 그루를 심을 계획이다. [제이누리=이재근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