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충 방제 비리수사가 확대되고 있다. 재선충병 소나무 방제작업을 한 벌목업체가 방제사업비를 부풀려 빼돌렸다는 의혹에 당시 방제업무를 담당한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경찰수사망이 확대되고 있다.
6일 제주지방경찰청에 따르면 A 업체는 지난 2013년 10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총 5개지구에서 재선충 소나무 1만4786그루를 방제해 10억7000만원을 받기로 제주도와 수의계약했다.
해당 업체는 계약물량 중 1만1605그루만 제거하고 3181그루는 제거한 것처럼 속여 경찰 추산 2억5000만원~3억원을 부당하게 챙긴 혐의(사기)를 받고 있다.
또 나무 절단 부분이 땅에서 10㎝ 이하여야 하는데 30㎝~50㎝ 등 그 이상으로 절단하거나 나무껍질을 벗기지 않는 등 부실 방제를 한 혐의도 받고 있다.
출근기록부 인원이 실제 작업 인원에 비해 훨씬 부풀려진 점도 확인했다.
특히 경찰은 당시 방제를 감독한 공무원 15명을 허위 공문서 작성 및 행사 혐의로 수사중이다.
경찰은 수사 상황에 따라 관리 책임자인 국·과장 등 고위 공무원 소환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달 중 공무원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 하는대로 최종 수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지난해 10월 소나무 방제 계약을 맺은 벌목업체들의 고사목 제거량과 실제 제거량 수치가 다르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제주도는 벌목업체가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나온 위·경도 좌표를 근거로 제거비용을 지불했으나 현장 확인 결과 기재된 좌표지점에는 소나무가 제거된 흔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긴급방제작업에 투입된 업체 관계자들이 고사목에 부여하는 위성항법장치의 숫자를 늘려, 제거비용을 부풀려 빼돌린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2103년 9월부터 2014년 4월 까지 재선충 소나무 방제작업에 총 450억원을 들여 고사목 54만5000여그루를 잘라냈다고 발표했다. [제이누리=이재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