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한라산에 위치한 국군 특수전전사령부(특전사) 충혼비에서 제주도에서 순직한 장병 추모행사가 특전사 주최로 5일 열렸다.
이 행사는 1982년 제주 국제공항 개관식에 참석하는 대통령 경호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군 수송기를 타고 제주도로 향하던 중 불의사고로 순직한 장병들의 영혼을 기리기 위해 열렸다.
33번째로 열린 이날 추모식은 개식사·호국영령께 대한 경례·헌화 및 분향·묵념·추모사 순으로 진행됐다.
추모식에는 제주시 보훈지청관계자·제주특전동지회 및 전우회·해군 제주방어사령부와 특전사 장병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제주시 오등동 관음사 입구에 세워진 추모비 전면에는 ‘안되면 되게하라’는 특전부대 신조와 함께 고 김영용 소령 등 장교 14명, 부사관 39명, 공군 정재호 중령 등 총 53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봉황새 작전' 중 산화환 53명의 사연은 1982년 2월5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제주국제공항 개관식에 전두환 전 대통령 참석이 예정돼 경호를 위해 C-123수송기(9대)를 이용 707특수임무대대 부대가 이동했고, 그 와중에 ‣ 4번기가 악기상으로 한라산 해발 1060m 지점인 “멘주리”(개미목 일대)에 추락했다. 추락과 함께 항공기에 탑재되어 있던 탄약과 폭발물이 동시에 폭발, 결국 육군 소령 김영용 등 53명 전원이 순직했다.
특전사는 악기상 속에서도 임무수행을 위한 부대이동 중 사고를 당한 그들의 희생과 영혼을 기리기 위해 사고 3개월 후 사고 원점지점에 원점비를 세우고, 한라산 등산로 입구 관음사 일대에 충혼탑을 세워 이들을 추모하고 있다. [제이누리=이재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