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진청, 1월9일 ‘흑우돌이’ 탄생…멸종 위기 제주흑우 보존 기대

 

사후 체세포를 이용한 복제된 제주흑우에서 송아지가 탄생했다. 세계 최초다.

 

농촌진흥청은 노령으로 도축된 제주흑우 씨수소(BK94-13)와 씨암소(BK94-14)의 체세포를 이용해 사후 복제된 ‘흑올돌이’와 ‘흑우순이’ 사이에서 세계에서는 처음으로 송아지 ‘흑우돌이’가 태어났다고 26일 밝혔다.

 

이 연구는 농림수산식품부의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과 농촌진흥청의 우장춘프로젝트, 제주도의 연구비 지원으로 제주대 박세필 교수(연구책임자)와 김은영 교수,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제주축산진흥원 및 ㈜미래생명공학연구소가 공동 참여했다.

‘흑우돌이’는 사후 복제된 멸종위기 제주흑우 씨수소 ‘흑올돌이’와 씨암소 ‘흑우순이’ 사이에서 인공수정기술을 통해 지난 1월9일 287일 만에 정상 분만으로 태어났다.

태어날 때의 체중은 25kg으로 태어난 ‘흑우돌이’는 친자감별 유전자 분석(DNA finger printing) 결과 연구에 사용된 11개의 STR 마커에서 흑올돌이와 흑우순이의 유전자를 공유해 탄생된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대 박세필 교수는 “노령으로 도축된 최우량 정자생산(1등급 이상 95% 송아지 생산) 제주흑우 씨수소와 최우량 씨암소 체세포를 무염색난자핵제거기술이 병용된 체세포핵이식기술과 초급속 냉·해동직접이식기술 등을 이용해 각각 사후 복제했다. 이들 복제 씨 암·수소로부터 송아지 흑우돌이가 탄생했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처음으로 멸종위기 동물인 제주흑우를 종 복원하고 이들 개체로부터 생식능력을 확인하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흑우돌이 탄생으로 멸종위험 동물인 제주흑우 씨 암·수소의 종 복원과 개체생산 체계가 확립돼 앞으로 우수 종 보존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국외 학술지 ‘Journal of Reproduction and Development(2013년 8월)’ 온라인에 게재됐다.

 

한편 제주흑우는 제주도 내에서만 사육되고 있다. 전신의 털 색깔이 흑색인 것이 특징이다. 체구가 작으나 체질이 강건하고 지구력이 좋다. 조선왕조실록과 탐라순력도 등 옛 문헌에 제향과 진상품으로 공출된 기록이 있다. 지난 7월22일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546호로 지정됐다.

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개체수가 480여 마리로 적어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멸종위험 동물로 지정돼 있다. 이들의 개체 수 보존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박 교수는 지난 15일 목장서 흑우돌이의 아버지 흑올돌이를 동영상으로 촬영하던 중 들이받혀 척추와 갈비뼈에 전치 12주의 심한 부상을 입었다. 그는 이날 진통제를 맞고 세종시 정부종합청사 농림수산식품부와 제주도청 기자회견 일정을 소화했다. [제이누리=김영하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