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난대산림연구소 조사결과, CO₂16만6천톤 흡수…육지숲의 1.4~2배

 

제주의 천연원시림 지대인 '곶자왈'이 ‘탄소저장고’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제주의 깨끗한 대기환경이 곶자왈 덕이라는 분석이다.

 

29일 제주웰컴센터에서 김우남 국회의원, 국립산림과학원, 곶자왈공유화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곶자왈의 생태와 문화, 그리고 미래가치’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날 국립산림과학원 최형순 박사는 ‘곶자왈의 생태계와 자원’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최 박사는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곶자왈연구팀, 공주대 이영진 교수팀이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선흘, 저지, 청수곶자왈지역 260ha의 산림을 대상으로 탄소저장상황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발표했다.

 

 

 

조사 결과 곶자왈에 주로 형성돼 있는 종가시나무 숲의 지상부 탄소저장량은 평균 87,19톤/ha이며 침엽수림(곰솔)은 125.97톤/ha로 추정됐다.

 

이는 육지부의 신갈나무 숲, 굴참나무 숲, 소나무 숲의 탄소저장량의 1.4∼2배에 해당한다고 최 박사는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신갈나무림 지상부 탄소저장량은 48.9~60.5톤/ha, 굴참나무는 57.5~62.5톤/ha, 소나무림은 27.95~80.80톤/ha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제주도 전체 곶자왈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약 16만6000톤으로 추정했다.

 

이 같은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배기량 2000CC급 중형차 4만1554대가 연간 2만km를 운행하면서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와 맞먹는 양이다.

 

이에 따라 제주 곶자왈은 제주지역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공기를 깨끗하게 해주는 환경정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이다. [제이누리=김영하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