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훈 제주지사가 지난해 12월 3일 불법 비상계엄 사태 당시 자신의 행적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 직접 해명에 나섰다. 오 지사가 4일 도청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제주도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6/art_17569525986066_c82dd2.jpg?iqs=0.7312072551350752)
오영훈 제주지사가 지난해 12월 3일 불법 비상계엄 사태 당시 자신의 행적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 직접 해명에 나섰다. 계엄 선포 직후 도청 청사 폐쇄를 지시했다는 주장과 긴급 상황에서 지사가 어디에 있었는지를 두고 논란이 제기되자 스스로 입장을 밝혔다.
오 지사는 4일 도청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계엄 당시 상황과 관련해 지사가 직접 해명하는 것이 의혹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처음 소문의 발단은 '12월 3일 오영훈은 어디서 술을 마시고 있었다'는 이야기였다"며 "그러나 저는 그날 서울의 스타트 기업을 방문했고, 이후 경제 자문 고문 등과 오산에서 식사를 한 뒤 제주에 도착했다"고 말했다.
이어 "업체 관계자 및 벤처기업협회장, 경제고문, 특보단, 제주도 혁신산업국장 등과 오산에서 식사를 했는데 그날 저녁 식사 비용도 확인해 보니 28만원이었다"며 "식사를 마친 뒤 오후 9시 5분 비행기를 타고 제주에 도착했는데 시각은 이미 밤 10시가 넘은 때였다"고 말했다.
또 "집에 도착했을 때 이미 계엄 상황이 뉴스로 보도되고 있었고, 비서실장과 여창수 특보 등을 통해 보고를 받으며 자택에서 지시를 내렸다"며 "새벽 1시 30분 도청 회의를 소집해 군과 경찰에 상부 지시가 있더라도 따르지 말라고 명확히 지시했고, 그렇게 하겠다는 답변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역할은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행적과 관련한 질문도 이어졌다. 기자단은 "공항에 도착한 뒤 곧바로 도청으로 가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오 지사는 이에 대해 "당장 도청으로 와야 한다는 규정은 없고, 평소에도 근무시간 외에는 자택에서 보고를 받는다"며 "합법적인 계엄이라면 즉각 출근했겠지만 당시 계엄은 불법적이고 무효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자택에서 상황을 점검하며 지시를 내린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계엄 당일 핵심은 국회로 시민들이 모여 달라는 것"이라며 "국회에 갈 수 없는 상황에서 도청으로 가는게 그리 시급했던 일인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자택 대기 상태에서 초기 대응을 했다는 취지다.
또 기자단에서는 "경기지사가 현장에서 단호한 메시지를 보낸 것처럼 제주지사 역시 도민 전체의 리더로서 곧바로 청사에 들어가 직접 지휘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오 지사는 이에 대해 "군과 경찰에 강력한 지침을 내린 만큼 부족했다고 느껴진다면 송구하다"고 답했다.
청사 폐쇄 논란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청사 폐쇄 논란은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이 전국 단체장들의 계엄 대응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다시 불거졌다. 특히 도의 경우 당시 도정이 배포한 보도자료에 '청사 출입문 폐쇄'라는 표현이 포함돼 있었다.
실제로 도청 본관 출입문은 3일 오후 11시 17분부터 다음 날 오전 2시 13분까지 닫혀 있었다. 또 출입자 통제가 이어졌다. 이 때문에 제주도정이 행정안전부 지시를 그대로 따른 것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불법 계엄 동조' 의혹으로 확산됐다.
강재병 제주도 대변인은 지난 3일 청사 폐쇄 관련 긴급 브리핑을 열고 "청사 전체 폐쇄는 없었다"고 반박했다.
출입문 일부를 닫고 통제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도청 정문을 봉쇄하거나 청사 전체를 막은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었다. 그러나 이 같은 해명이 오히려 '출입문 통제'와 '청사 폐쇄' 사이의 해석 차이를 남겨 혼선을 키웠다.
오 지사 역시 청사 폐쇄 논란에 대해 "제가 청사 폐쇄를 지시한 사실은 전혀 없다"며 "행안부에서 지시가 내려오긴 했지만 실제로 청사 전체를 닫은 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결국 이번 논란은 지사의 행적과 리더십 공백 논란에 이어 도청 출입문 통제를 '청사 폐쇄'로 볼 수 있는지 여부까지 쟁점으로 남게 됐다.
오 지사는 "불법 계엄에 동조한 사실은 전혀 없다"며 "도정은 기록과 보고 체계에 따라 정상적으로 대응했다"고 거듭 강조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