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역에 해파리 출현율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물놀이 안전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26일 제주시 조천읍 신흥해수욕장에서는 푸른우산관해파리가 무더기로 발견됐다. [출처=인스타그램]](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731/art_17536604525516_a410cb.jpg?iqs=0.9816307953117581)
제주 해역에 해파리가 급증하고 있다. 물놀이 안전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8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강독성 해파리로 분류되는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제주 해역 출현율은 지난달 12.5%에서 이달 55.6%까지 급증했다. 이 해파리는 현재 제주시와 서귀포시 해역 모두에서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강한 독성을 가진 해파리로 접촉 시 심한 통증과 피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해양 안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독성이 약하지만 피부에 닿을 경우 이상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푸른우산관해파리'도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지난 26일 제주시 조천읍 신흥해수욕장에서는 푸른우산관해파리가 무더기로 발견돼 해경과 관계기관이 긴급 수거 작업을 벌였다.
지난 23일 서귀포시 표선해수욕장에서도 같은 해파리떼가 출현해 일시적으로 출입이 통제되기도 했다.
푸른우산관해파리의 출현율은 지난 5월 0.3%에서 이달 0.7%로 증가했다. 최근 일주일간 전국에서 접수된 관련 신고 4건 중 3건이 제주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제주도내 해수욕장 개장으로 피서객이 증가하면서 해파리 쏘임 사고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며 "물놀이 시 각별히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해파리를 목격할 경우 신속히 관계기관에 신고해 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제주지역 해파리 쏘임 사고는 2022년 15건, 2023년 26건, 지난해 20건 등으로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