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30대·50대까지 이탈 확대 … 외국인 이민·이주민 정착 정책으로 반전 모색

 

제주지역 인구 유출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3000명 넘게 순유출됐다. 유출 연령대도 전 세대로 확대되고 있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제주도는 지난 6월 한 달간 514명의 순유출을 기록했다. 2533명이 타 지역으로 떠나고 2019명이 제주도로 전입했다. 이로써 올해 상반기(1~6월) 누적 순유출 인구는 3026명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증가한 수치로 연간 기준으로는 38년 만에 최대 순유출을 기록한 지난해(3361명)에 근접한 수치다.

 

특히 이번 유출은 특정 세대를 넘어서 전 연령층에 걸쳐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순유입을 보였던 30대와 50대가 올해 각각 208명, 139명 순유출로 전환됐고, 40대와 60세 이상 고령층에서도 순유출 규모가 확대됐다.

 

제주지역 인구는 2013년 60만명에서 2023년 70만명을 돌파하며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지난해 들어 감소로 전환됐다. 지난해 2월 70만명 선이 무너졌고, 올해 6월 기준 제주 총인구는 69만427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5월보다도 665명 감소한 수치다. 도가 설정한 도시계획인구 73만명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흐름이다.

 

전문가들은 인구 유출의 주요 원인으로 ▲높은 물가와 주거비 ▲일자리 부족 ▲생활 인프라 미흡 등을 꼽고 있다. 특히 고령화가 심화되고 청년층의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경제활동인구(15~64세) 감소가 뚜렷하다. 이 때문에 농업과 어업 등 1차 산업 현장에서는 농번기 외국인 노동자 없이는 생산 활동이 어려운 실정에 이르렀다.

 

이에 도는 지난 23일 '제주특별자치도 인구정책 기본 조례'와 '외국인주민 및 이민 지원 기본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하고 대응책 마련에 돌입했다. 인구 구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유입 인구 확대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정비하는 것이 핵심이다.

 

개정안에는 '워케이션(Workation)'과 '런케이션(Learncation)' 같은 체류형 인구 유입 사업의 정책화와 예산 투입 근거가 포함됐다. 워케이션은 일과 휴가를 결합한 개념이다. 런케이션은 학습과 여행을 결합한 장기 체류형 체험 방식이다. 도는 청년층 유입과 지역 정착을 유도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으로 이들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또 청년·대학생 전입 및 정착 지원, 도민 실천단 구성, 인구영향평가제 도입, 외국인 주민 및 이민자 지원 확대 등도 함께 포함돼 있다. 도는 해당 조례안에 대한 도민 의견을 다음달 12일까지 접수할 예정이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