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문화예술재단 노조가 이승택 이사장에 대해 반기를 들고 나섰다. “재단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포기했다”며 무기한 시위에 나섰다. 1년 가량 공석이던 경영기획실장 자리를 파견 공무원으로 채우겠다는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다.
제주문예재단 노조는 28일 성명을 내고 “이승택 이사장은 경영기획실장 자리에 공무원 파견 요청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이사장은 25일 기획홍보팀장에게 제주도에 공무원 파견 요청 공문을 보낼 것을 지시했다"면서 "이는 내부 소통은 물론 단 한 차례의 간부회의도 없었던 독단적인 결정”이라고 꼬집었다.
"최소한의 간부 간 협의가 필요하다"며 재고를 요청한 기획홍보팀장을 이승택 이사장이 결재 과정에서 배제시켰다고 노조는 주장했다.
노조는 "이사장은 이후 기획홍보팀장에게 조퇴를 요구, 입사 1년도 안된 기획홍보팀 직원에게 파견 요청 공문의 초안을 만들게 하고, 발송을 지시했다"면서 "조직운영 담당부서인 기획홍보팀장의 결재는 누락한 채 도청에 공문을 보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제주도의 유관기관 공무원 파견은 출자.출연기관에 대한 장악력을 높이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꾸준히 있었다. 원희룡 지사가 2018년 ‘공무원들의 보직 숨통을 트기 위한 파견은 없애야 한다’고 강조한 사실도 있다”면서 “역사로 사라져가고 있던 공무원 파견제를 불러들인 이사장과 제주도가 사전협의를 한 것이라면 책임의 대가는 가볍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제주도는 이사장의 요청에 부응하여 공무원을 파견한다면 원희룡 지사가 2018년 기자간담회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누가 봐도 필요한 파견’이라고 인정할 만큼의 이유를 밝혀야 할 것”이라며 “도는 이사장의 공무원 파견요청 공문작성 지시 과정은 더욱 큰 문제를 안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제주문예재단의 파견제 폐지는 당시 타 광역문화재단들에도 재단의 독자성을 담보하는 선진적이고 모범적, 개혁적 사례로 평가받았다. 또 제주도에서 실시한 경영평가에서도 주요 성과로 인정받았다”면서 “이런 와중에 이승택 이사장의 결정은 기관장으로서의 리더십 결여의 방증”이라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경영하고 책임져야 할 기관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내팽개친 이승택 이사장은 자신의 무능 경영을 인정하고, 독단과 졸속으로 얼버무려진 공무원 파견 요청을 당장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제주문예재단 노조는 파견 요청 철회 시까지 오전 8~9시 출근 시간에 재단 건물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현재 재단 건물 외벽에는 파견 요청 철회 등을 촉구하는 문구가 붙어있다.
노조는 이날 올해 3월 기준 17개 시·도 광역문화재단 공무원 파견 현황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경영기획본부장, 사무처장, 행정지원팀장 등으로 공무원을 파견하고 있는 곳은 강원(2명), 전남, 충북, 전북(2명), 경북(2명) 등 5곳이다.
제주문예재단은 앞서 25일 도에 경영기획실장 파견을 정식 요청했다. 재단은 박경훈 이사장 재임 시절인 2017년 8월, 기관의 독립성.자율성 확보를 취지로 제주도와 협의 끝에 사무처장(현 경영기획실장) 공무원 파견을 폐지한 바 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