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립산림과학원, 서귀포 연구 시험림서 5월 산란 첫 확인 ... "기후변화 영향"

 

희귀 철새인 팔색조의 번식 시기가 기후변화로 예년보다 일주일 정도 앞당겨졌다.

 

28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한국조류보호협회와 제주 서귀포 연구 시험림 일대 산림생태계를 공동 조사하던 중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

 

제주도에서 번식하는 팔색조는 5월 중하순 제주에 도착, 6월 초부터 7월 하순까지 알을 낳는다.

 

팔색조의 현재까지 가장 빠른 산란기록은 2012년 6월 1일이었다. 대부분 6월 중하순에서 7월 상순에 집중적으로 산란한다.

 

하지만 이번에 확인된 팔색조는 5월 29일께 첫 알을 낳았다. 이는 5월에 산란한 첫 번째 사례다. 이 팔색조는 모두 6개의 알을 낳았고, 14일간 포란(抱卵)한 후 6월 17일께 부화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팔색조의 산란 시기 변화에 대해 올해 상반기의 평균기온이 1도 가량 오르고, 강수량도 40mm 늘어나는 등 기후변화를 주원인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팔색조의 이동 시기를 앞당길 뿐 아니라 주요 먹이인 지렁이의 개체 수 증가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204호인 팔색조는 멸종위기 야생동물로 지정돼 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규정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기도 하다. 전 세계적으로 1만마리 이하의 개체만 생존해 있다고 추정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대만, 일본 등이 주요 번식지다. 제주에는 약 100쌍 정도의 팔색조가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팔색조는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등지에서 월동하는데 현재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군의 감소가 크게 우려되고 있어 지속적인 보호와 관찰이 필요하다.

 

이임균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장은 "기후변화와 산림생태계 환경 변화가 팔색조의 번식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