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기지 건설로 마을주민들이 갈등하며 분열된 서귀포시 ‘강정마을 갈등 해결을 위한 상생화합 공동선언식’이 31일 오전 강정마을 해군기지 인근 크루즈 터미널에서 열린다.
정부는 2007년 서귀포시 강정마을에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 건설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을 놓고 마을 주민들의 찬성과 반대가 표출되면서 도민갈등으로까지 번진 이래 마을이 화합을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것은 14년만이다.
해군과 정부는 그동안 2014년까지 1조300억원을 투입해 전투함 20여척과 15만t급 크루즈선 2척이 동시에 정박할 수 있는 45만㎡의 건설 계획을 추진했다.
해군기지는 결국 강정지역 주민과 제주도민을 위해 해군 기지를 군사용 기지와 병행, 제주관광 크루즈선도 입항할 수 있는 항구로 건설된 것이다.
해군기지는 2015년 9월 16일 해군기지 부두가 준공돼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 등 시험 입항식을 거행했고, 다음해인 2016년 2월26일 완공됐다.
하지만 계획단계에서부터 불거진 강정지역 주민들이 찬반갈등, 일부 도민들의 반대운동, 여기에 전국의 평화운동단체들이 가세한 군사기지 반대 운동은 큰 상처를 남겼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10월 국제관함식 참석차 강정마을을 방문해 지역주민들과 대화를 가지면서 대통령으로서 '유감표명'을 하면서 주민들을 위로했다. "도 건설과정에서 반대운동을 하다 연행된 주민들의 사면과 복권을 검토하겠다"는 말도 전했다.
제주 출신인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은 지난해 8월31일 제주 서귀포시 강정커뮤니티센터 앞에서 열린 '해군본부-강정마을회 간 민군상생발전을 위한 협약식'을 갖고 "갈등을 초래한 데 대해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했다.
31일 열리는 공동선언식은 이런 갈등을 접고 화합으로 나가고자 하는 마을주민들의 의지를 표명하는 공식 행사다. 제주 출신 3명의 국회의원, 원희룡 제주지사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원희룡 제주지사와 좌남수 제주도의회 의장의 공식사과, 마을의 상생 화합선언 등으로 이뤄진다. 공동선언문은 지역주민 100여 명이 모여 발표한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