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수노동조합 등 7개 단체가 제주지역 대학의 위기에 대한 대책뿐 아니라 고등교육 정책의 대전환을 위한 중장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국교수노동조합과 전국대학노동조합,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민주노총 제주본부 등 7개 단체는 26일 오전 제주도청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지역 대학이 최근 10년 이내 입학생이 급감하는 현상이 뚜렷해 다른 지방의 대학들과 차이가 없다”며 “대학 위기 대책을 넘어 고등교육 정책의 대전환을 위해 중장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앞으로도 인구는 지속해서 감소할 것으로 예측돼 장기간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대학 구조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며 “정부가 나서서 대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중장기적 고등교육 대책과 함께 지방 대학의 지원과 육성, 균형 발전을 고려한 세밀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방정부 역시 해당 지역 대학생에 대한 교육비 지원과 지역인재 채용 의무 할당 및 채용기업 인센티브 제공, 지역산업과 대학의 연계를 통한 지역대학의 역할 강화, 위기 사립대학의 공립화 등 대학위기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대학이 벚꽃이 피는 순서로 문을 닫을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면서 “하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서울에서 먼 지역 대학부터, 대학서열이 낮은 순서부터 폐교 위기에 몰리고 있다고 보여 지방대학 위기 대책에 있어 대학서열 해소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학 위기가 오래된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소하고, 교육체제를 바꾸는 기회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