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시민모임 "제주도의 대체 서식지 조성 계획 ... 국내 성공사례 거의 없어"

 

비자림로 확장 공사에 대한 시민단체의 반발이 여전하다. 제주도는 올해 삼나무숲 훼손 논란으로 3년간 3차례 공사를 중단했던 공사를 재개할 방침이다.

 

비자림로를 지키기 위해 뭐라도 하려는 시민들(시민모임)은 21일 성명을 내고 “비자림로의 생물다양성을 악화시키고, 종 감소를 불러올 비자림로 4차선 확장 계획 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시민모임은  “제주도는 생물권 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인증 등 3관왕을 차지할 만큼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반드시 보전해야할 곳”이라면서 “하지만 제주도의 정책은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향이 아닌 생색내기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주도는 ‘제주의 생물자원 다양성 보존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멸종위기에 있는 생물종을 늘려 서식지에 복원하는 사업을 벌이겠다’고 작년에 밝힌 바 있다”면서 “하지만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큰 원인은 산림 벌채와 남획, 난개발로 인한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 감소와 단절이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제주도는 지난해 제주대 산학협력단에 ‘비자림로(대천~송당) 확장.포장 공사 소규모 환경영향 평가 협의 내용 이행에 따른 조사용역’ 최종보고서를 의뢰했다. 보고서에서는 "비자림로 확장 및 포장 공사와 공사 차량 소음 등으로 수많은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의 서식처 소실과 서식환경이 악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단체는 “제주도는 한국에서 성공사례를 찾기 어려운 대체 서식지 조성으로 멸종 위기종을 보호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면서 “게다가 작년 송악선언을 통해 ‘제주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는 것이 개발 사업의 기본 전제’라고 밝혔던 원희룡 제주지사는 대권 도전을 위해 언제 임기를 마감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책임있는 행정을 펼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성공사례 없는 법정보호종 이주 대책 및 대체서식지 조성을 중단하고, 비자림로 벌목 지역을 생태교육의 장으로 조성하라”고 요구했다.

 

비자림 확장공사는 제주시 구좌읍 대천교차로부터 금백조로 입구까지 2.9km를 왕복 2차선에서 4차선으로 확장하는 공사다.

 

제주도는 앞서 도로 주변의 삼나무 900여그루를 잘라내던 중 환경단체의 반발로 2018년 8월 공사를 시작한지 한 달 만에 중단했다.

 

도는 첫 공사 중단 이후 해당 도로를 3개 구간으로 나눠 너비를 축소하거나 우회도로를 만드는 설계 변경안을 내놓고, 2019년 3월 공사를 다시 시작했다. 하지만 법정보호종 발견과 서식지 훼손 논란까지 더해지면서 공사는 또 중단됐다.

 

제주도는 아울러 지난해 5월 영산강유역환경청과 환경영향 저감대책 협의를 마무리하지 않은 채 공사를 재개했다가 과태료 처분을 받고 다시 중단했다.

 

제주도는 지난달 26일 “비자림로 확장공사에 따른 환경영향 저감대책을 보완중”이라며 “빠르면 10월쯤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 최종 협의를 끝내고, 공사를 재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