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제주도는 나무림 건강성 회복을 위한 소나무재선충병 7차방제를 마무리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7차 방제는 지난해 10월부터 올 4월까지 이뤄졌다.
이 기간 제거된 고사목은 2018년 10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이뤄진 6차 방제에서 제거된 14만3000본보다 43%가 줄어든 8만2000본이다.
이 8만2000본 중 4만6000본이 재선충병으로 고사한 피해목으로 조사됐다.
재선충병으로 인한 피해가 줄어들면서 산림청은 제주를 재선충병 극심지역에서 제외하기도 했다.
산림청의 피해정도 구분은 극심(5만본 이상), 심(3~5만본), 중(1~3만본), 경(1천본~1만본), 경미(1천본 미만)으로 나뉜다.
제주의 경우는 1차 방제에서 54만본을 제거하고 2차 방제에서 51만본, 3차 방제에서 48만본을 제거하는 등 재선충병으로 인한 소나무 피해가 극심했다. 하지만 4차 방제에서 28만9000본 제거로 줄어드는 등 피해정도가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제주도는 “그동안 소나무재선충병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제주맞춤형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략’을 수립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제전략을 펼쳤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특히 한라산국립공원으로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해안방향으로 압축방제를 했으며 피해임지를 분석해 고사목을 제거한 임지에 예방나무주사를 병행하는 복합방제로 확산방지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또 매개충 번식억제를 위하여 소나무 고사목을 전량 지정된 장소에서 파쇄 처리를 하였다.
모든 방제사업장에 산림전문 책임감리원을 배치했으며 사업완료지 준공검사시 공무원이 입회해 세밀한 현장조사로 감시감독 체계를 강화했다.
박근수 제주도 환경보전국장은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방지를 위해 지난 3월에 2554ha를 대상으로 예방주사를 완료했다”며 “5~7월에는 소나무재선충병을 옮기는 솔수염하늘소의 서식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항공방제와 지상방제를 병행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이누리=고원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