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역에서 급증하는 해양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수거·처리할 기반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1042/art_17606613131221_b2bef2.jpg?iqs=0.5799718687578999)
제주 해역에서 급증하는 해양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수거·처리할 기반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해양환경정화선(정화선) 노후화와 수거 능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제주도는 정화선 자체가 없어 수거 체계의 공백이 심각한 상황이다.
17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남 영암군무안군신안군)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가 보유한 해양환경정화선 17척 가운데 5척(30%)이 내구연한에 도달한 노후 선박으로 조사됐다.
공공선박 관리 지침상 정화선의 내구연한은 강선·알루미늄선박 25년, 강화플라스틱선 20년이지만 이미 이를 초과한 선박이 다수 운항 중이다.
제주는 특히 정화선이 한 척도 없어 해양쓰레기 수거를 전적으로 민간 위탁이나 육상 처리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 관광객 증가, 해양 레저 활성화 등으로 연간 쓰레기 발생량이 급증하고 있지만 해양 현장에서 직접 수거할 수 있는 장비와 인프라가 사실상 전무한 셈이다.
수거 능력 역시 턱없이 부족하다. 해양수산부는 매년 약 14만5000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한다고 추산하지만 수거 용량이 20톤 이하인 정화선이 전체 17척 중 13척(76%)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정화선 1척당 연간 평균 수거량이 347톤에 불과해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해양쓰레기를 모두 수거하려면 약 25년이 걸리는 수준이다.
서 의원은 "정부가 '청정한 바다'를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있지만 해양쓰레기 수거 역량은 여전히 매우 미흡하다"며 "특히 제주처럼 정화선이 없는 지역은 국비 지원을 통해 신규 건조를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