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교통난 완화 위한 470억 규모 입체화 구상 … 공항~평화로 연결 우회도로 곧 착공

 

제주시 노형오거리의 상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제주에서 처음으로 '공중보행로' 설치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공항에서 평화로를 바로 연결하는 우회도로는 조만간 착공에 들어간다. 핵심 교차로의 구조 개편 논의도 본격화하고 있다.

 

14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시 연동·노형동 일대 교통 혼잡 완화를 위한 대안으로 공중보행로(원형육교) 설치가 유력한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는 앞서 도심 주요 교차로 18곳을 대상으로 교통 개선 용역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공항 앞 지하차도와 오일장 우회도로 건설이 확정된 데 이어 노형오거리에 대한 입체화 방안도 검토해왔다.

 

지난해 완료된 '노형오거리 교통개선 입체화 타당성 검토 용역' 결과, 지하차도·회전교차로·일방통행 전환 등의 방안은 교통량 분산 효과가 낮거나 사업비가 과도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녕고에서 한라대 입구까지 약 1㎞ 구간에 지하차도를 설치할 경우 사업비만 19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비해 공중보행로는 약 470억원의 사업비로 추진이 가능하고, 보행 흐름을 입체화함으로써 차량 신호체계 개선과 혼잡 완화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됐다. 계획안에 따르면 높이 5.5m 규모의 육교를 설치해 다섯 방향에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존 횡단보도를 모두 없애 차량 흐름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식이다.

 

도는 공중보행로 설치를 위해 국비 확보를 필수 조건으로 제시했다. 다만 현행 도로법상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사업 대상에 제주가 포함돼 있지 않아 추진에 제약이 따른다. 현재 국회에는 제주를 대도시권 범위에 포함하는 도로법 개정안이 제출돼 있지만 1년째 계류 중이다.

 

이와 별도로 공항과 평화로를 직접 연결하는 '광령~도평간 우회도로' 사업은 예정대로 시작된다. 이 도로는 오광로에서 평화로 제2광령교까지 모두 4.2㎞ 구간에 왕복 4차로를 신설하는 것으로 전체 사업비 1258억원이 투입된다.

 

도로가 완공되면 공항에서 신광사거리와 노형오거리를 거치지 않고 제주관광대 앞 평화로로 곧장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공중보행로 사업은 도로법 개정 여부에 따라 추진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며 "우회도로는 조달청 발주 절차를 거쳐 곧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