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너구리'에 의해 맥없이 바다로 떠밀려간 제주해군기지(민·군 복합형 관광미항) 건설현장의 콘크리트 구조물(케이슨)을 놓고 다시 해군기지 입지 타당성 문제가 불거졌다.
서귀포시 강정마을회·제주군사기지범대위·제주해군기지건설저지전국대책회의 등은 13일 성명을 통해 "제주해군기지(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입지타당성에 대한 조사 및 재검토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강정마을회 등은 “태풍으로 인해 제주해군기지 남방파제 끝 부분에 설치됐던 케이슨 3기 등이 바다로 떠밀려가거나 비스듬히 기운 상태다”며 “해군기지 입지 타당성 문제, 설계오류의 문제점이 결국 이번 태풍으로 인해 재차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는 만(灣)이 아닌 곶(串)과 같은 지형에 해군기지를 건설하는 잘못된 결정 때문"이라며 "잘못된 상황을 근본적으로 치유하지 않는 이상 이와 같은 사태는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우리 강정마을에서 근접한 서귀포 기상대의 기록에 따르면 순간최대풍속은 초속 19.5m에 불과했다"며 "그런데도 이런 일이 벌어진 건 역시 해군기지의 근본적인 입지 타당성의 문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너구리'는 2012년 당시 케이슨 7기를 붕괴시킨 '볼라벤'의 위력에 미치지 못하는 태풍이었음에도 케이슨이 무려 3기나 파손됐다"며 "50년마다 한 번 오는 정도의 강력한 태풍에도 내구성이 있도록 설계됐다고 호언장담하는 해군 측은 거짓말쟁이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들은 "건설 자체가 도민의 혈세를 낭비할 뿐만 아니라 제주가 자랑하는 천혜 자연환경을 시멘트 폐기물로 뒤엎어버리는 사업이 될 것이라는 것에 우리는 심각한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원희룡 도정은 강정치유를 말로만 얘기하기 전에 제주해군기지 방파제 부실에 대한 안전진단 조사단을 구성하면서 케이슨의 상태와 파손원인에 대한 객관적 조사에 당장 착수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조사 결과 입지타당성이 없다면 해군기지는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제이누리=강남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