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후보는 8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책 내용이 잘못 전달된 것이다"며 "다만 제주도민들이 마음의 상처를 받았다면 죄송하다"고 공식사과했다.
그는 "책에서는 당시 4월3일 선거 방해행위에 대해 서술한 것이지 4·3 사건과 관련해서는 서술한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남로당 중심으로 했던 무장투쟁과 그 무장투쟁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분들이 있다"며 "정부에서 이 사건과 관련해 특별법까지 제정한 것은 1947년부터 1954년까지 무고하게 희생된 제주도민에 대한 진상을 밝히고 그 희생된 분들을 위한 특별법과 기념일을 정한 정신을 성실하게 집행하는 것이 주무부처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주도민을 책망한 내용은 책에 없다"며 "제주4.3이 국가추념일로 지정된 것에 대해서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자신의 저서인 '대한민국 헌법 이야기' 89쪽에서 제주 4·3 사건의 일련의 과정에 대해 "이러한 공산주의 세력의 무장봉기는 전국적으로 극렬하게 전개되어 전국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을 뿐만 아니라..."라고 기술했다.
야당은 정 후보자가 제주 4·3사건을 '공산주의 세력의 무장봉기'로 묘사해 역사인식에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안전행정부는 제주4.3 추념행사 운용의 주무부서다. [제이누리=강남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