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관피아' 행태가 검찰의 레이더망에 포착됐다. 제주 공직사회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제주지방검찰청은 2일 "3∼4건의 '관피아' 관련 행태에 대한 첩보를 입수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관피아' 척결을 위해 지난 5월 말 설치한 제주지검 특별수사본부를 통해서다.
검찰은 이미 "관련자들에 대해선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벌였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공무원이 퇴직 후 공공기관 또는 민간업체, 각종 위원회로의 '낙하산 인사'로 가는 경우가 많아 그동안 줄곧 '관피아' 논란이 제기돼 왔다. 공무원 문화의 영향력이 다른 지역보다 더 강해 그만큼 비리가 클 것으로 에상됐다.
퇴직 공무원들이 특정 기관, 공기업 등에 재취업한 뒤 각종 개발사업 인·허가 때마다 사실상 로비스트 역으로 나서 대가성 금품이 오가는 것으로 관측됐다.
최근 신화역사공원 내 대규모리조트 사업을 추진 중인 (주)람정제주개발의 고문역을 맡았다가 구설수에 올라 사퇴한 변정일 JDC 전임 이사장의 사례도 있다.
지난해 퇴임 후에도 각종 인사청탁에 개입, 실형을 선고받았던 성산수협 전 조합장 강모(64)씨도 전형적인 '관피아' 사례로 지목되고 있다.
제주지검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제주도라는 곳은 유난히 '궨당' 문화가 세 수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들끼리 서로 공모해 조직적으로 은폐하는 경우가 많아 수사에 난항을 겪고 있다"며 수사의 고충을 밝혔다.
박근혜 정부에서 불거진 '관피아' 용어는 관료(官僚)와 '마피아'의 합성어로서 공직관료가 퇴직 후 공공기관이나 민간업체, 인·허가 관련 각종 위원회 등으로 자리를 옮겨 절대권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 [제이누리=강남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