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도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사칭한 허위 전화주문, 이른바 '노쇼 사기' 피해가 잇따르고 있지만 경찰의 검거 실적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무원 사칭 사기 주의 현수막이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6/art_17570317240967_d78e7e.jpg?iqs=0.3429612986022921)
제주에서도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사칭한 허위 전화주문, 이른바 '노쇼 사기' 피해가 잇따르고 있지만 경찰의 검거 실적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전 대덕)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전국에서 2892건의 전화주문 사기가 발생했다. 피해액은 414억원에 달했지만 검거된 사건은 22건(81명)에 불과해 전체의 0.7% 수준에 그쳤다. 특히 제주를 비롯해 세종, 서울, 부산, 울산, 경기북부, 경북 등에서는 단 한 건도 해결되지 않았다.
제주에서도 실제 피해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27일 제주시 노형동에서 정육점을 운영하는 A씨는 '제주관광대 행정지원처 직원'을 사칭한 주문자의 전화를 받았다. 주문자는 학교 '후원의 밤' 행사에 쓸 육류 납품을 요청하며 별도로 훈제 닭다리 4000개 공급을 요구했다.
닭다리를 취급하지 않는 A씨는 주문자가 소개한 업체를 통해 물량을 조달했지만 다음날 결제하기로 한 인물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A씨는 소개받은 업체에 960만원을 이체한 뒤 사기 피해를 입었다.
이 주문자는 대학 직인이 찍힌 구매 확약서와 가짜 명함, 행사 사진까지 보내며 피해자의 의심을 피했다.
A씨는 "전화로만은 확인이 안 돼 결국 경찰서에 직접 가서 신고했다"고 전했다.
서귀포시에서도 유사 사례가 보고됐다. 한 축산물 유통업체는 같은 주문 전화를 받았으나 최근 언론 보도를 통해 사기 수법을 인지하고 거래를 중단해 피해를 면했다.
업체 관계자는 "훈제 닭다리 추가 구매를 유도하는 점에서 기존 피해 사례와 똑같았다"고 설명했다.
제주관광대 측은 "실제로 '김민기'라는 직원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최근 수개월간 유사 전화를 수차례 받아 피해 업체들의 항의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6월에도 '제주대 기획처장'을 사칭한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제주도청 직원을 사칭한 피해 신고도 접수된 바 있다.
박 의원은 "노쇼 사기는 유명 기관의 이름을 악용해 서민을 속이는 악질 범죄"라며 "검거율이 1%에도 못 미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경찰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