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치료 가능 사망률이 여전히 전국 평균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의료 격차가 해소되지 못하면서 필수의료 인력과 공공의료 강화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835/art_17562548069387_c94360.jpg?iqs=0.6431158600391675)
제주의 치료 가능 사망률이 여전히 전국 평균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의료 격차가 해소되지 못하면서 필수의료 인력과 공공의료 강화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27일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부산 금정구)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제주지역 치료 가능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45.67명으로 17개 시도 산술평균인 45.36명보다 높았다.
치료 가능 사망률은 적절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이뤄졌다면 막을 수 있었던 조기 사망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의료 접근성과 필수의료 인력 수준을 가늠하는 대표 지표로 꼽힌다.
지역별로는 충북이 49.94명으로 가장 높았고, 울산은 36.93명으로 가장 낮았다. 제주 외에도 인천(49.59명), 부산(49.47명), 강원(49.26명), 전북(48.14명), 경북(47.91명), 전남(47.57명) 등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복지부는 지역·필수의료 기반을 강화해 의료 격차를 완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백 의원은 "지역별로 치료 가능 사망률에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우리 의료체계가 균형 있게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경고 신호"라며 "거주지와 상관없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권역별 공공병원 확충과 필수의료 인력 지원 등 대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 역시 전공의 지원 부족으로 필수의료 인력 공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지역 의료 강화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