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제주지역 건축 착공 면적이 절반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지역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 파급 효과가 우려된다. 제주 원도심의 항공사진이다. [제이누리 DB]](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834/art_1755740737058_bca538.jpg?iqs=0.25651591239669747)
올들어 제주지역 건축 착공 면적이 절반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지역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 파급 효과가 우려된다.
21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국토교통부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 누계 기준 제주지역 건축 착공 면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줄었다. 전국 평균 감소율(21%)보다 두 배 이상 큰 폭의 하락이다.
지역별로는 서울(9%), 울산(18%), 충남(1%) 등 일부 지역은 증가했지만 광주(-79%), 경북(-56%), 전남(-52%), 제주(-51%)는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전국 건축 착공 면적은 2021년 1억3529만9000㎡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18.1%, 31.7% 감소했다. 지난해 18.6% 반등했으나 올해 들어 다시 21% 줄며 하락세로 전환했다. 특히 제주의 낙폭은 전국 평균보다 훨씬 커 건설경기 침체가 두드러진다.
건설산업은 자재·장비·인력 등 전후방 효과가 큰 산업으로 주거뿐 아니라 상업·관광 인프라 확충에도 직결된다. 이에 따라 착공 부진이 장기화될 경우 고용과 소득, 내수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광 의존도가 높은 제주경제 특성상 건설경기 둔화가 체류형 관광산업이나 도시개발 계획에도 차질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제주도내 건설업계 대표 오모씨(46)는 "민간 건축 수요가 얼어붙으면서 도내 중소 건설사들은 신규 물량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나 지자체가 공공임대주택, 생활SOC 사업 등으로 수요를 뒷받침해주지 않으면 고용 불안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부동산 경기 침체, 자재비 상승 등 복합적 요인이 민간 건축 수요를 크게 위축시킨 것으로 분석한다.
박선구 건설정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장은 "지역 건설경기의 장기 부진은 경제 선순환을 저해한다"며 "특히 착공 물량이 급감한 지역은 지방재정과 중앙정부 차원의 공공투자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최근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을 마련해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세제 지원과 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 역시 공공임대 확대, 생활SOC 투자, 노후 인프라 정비 사업 등 공공부문 투자를 통해 지역 건설경기 침체에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