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세계유산본부, 4500여 개체 자생 확인 … 삼백초·덩굴모밀 등 희귀종도 함께 서식

 

제주의 부속섬 우도에서 멸종위기종 대흥란이 대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이 처음 확인됐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우도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대흥란(Cymbidium macrohizon) 약 4500여 개체가 집단 서식하는 군락지를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그동안 대흥란은 제주 본섬에서만 자생지가 확인됐다. 부속섬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세계지질공원 대표명소인 우도 일대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던 중 대흥란 자생지를 발견해 정밀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대흥란뿐만 아니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삼백초, 산림청 지정 멸종위기 취약종 덩굴모밀과 덩굴민백미꽃, 기생식물 초종용 등도 함께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흥란은 다년생 무엽란으로 잎이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담자균류에 기생해 살아가는 부생식물이다. 매년 7~8월 연한 홍색 꽃이 피며 전남 해남 대흥사 일원에서 처음 발견돼 이름이 붙었다.

 

세계유산본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제주 부속섬의 생태적 가치가 다시 주목받게 됐다"며 "장기적인 조사와 종합 연구를 통해 멸종위기 식물의 생태자료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종석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세계지질공원 대표명소인 우도의 학술적 가치를 규명하고, 관련 기관과 협력해 대흥란 자생지를 보호·연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