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에서 지난 8일 밤 강진이 발생한 가운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총회에 참석차 모로코를 방문한 제주 대표단 숙소도 일부 파손돼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30936/art_16943323210175_f20050.jpg)
"모로코 공항은 당일 항공좌석이 있는 경우에나 출입이 가능할 정도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고정군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장은 강진으로 인해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모로코 현지 상황을 10일 이같이 전했다.
북아프리카 모로코에서 규모 6.8 강진이 발생한 가운데 현지에서 열린 제10회 세계지질공원 총회에 참석한 제주 대표단의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 부장은 "항공편을 통해 모로코를 빠져나가려는 관광객 등 방문객이 많아 혼란스럽다"면서 "조기 귀국은 불가능한 상황이나 다행히 제주 대표팀은 늦어도 오는 12일 새벽에는 모로코를 떠날 수 있을 것 같다"고 안도했다.
고 부장을 비롯해 세계유산본부 직원 3명, 유네스코등록유산관리위원회 지질공원분과위원 3명 등 6명은 제10회 세계지질공원 총회(4∼11일) 참석차 모로코에 출장중이다.
이들은 이번 세계지질공원 총회에서 제주지질공원 홍보 활동과 함께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을 받는 일정에 참여할 예정이었다.
그는 "제주와 청송, 진안군청 등 지질 총회에 참가한 한국인 77명은 모두 안전한 상태로 총회가 마무리되면서 오늘부터 순차적으로 출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 시간보다 9시간 늦은 모로코 현지 출장자들은 한국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항공권 현황과 현지 상황을 공유하면서 대처하고 있다.
현재 국내 참가자들은 모두 모로코 마라케시 신도심권에 머물고 있다. 제주 대표팀 등은 지진이 발생한 지난 8일 밤늦은 시간 마라케시 신도심권에 체류하고 있었다.
고 부장은 "마라케시 구도심권과 산악 지역에 피해가 컸지만 다행히 신도심권은 피해가 덜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지진이 강타할 당시 고 부장 등 제주 대표팀이 머물고 있던 숙소 호텔은 심하게 흔들리고 벽면 일부가 파손됐다. 건물에 균열이 생기고 일부 무너지면서 숙박객들은 허겁지겁 모두 밖으로 긴급히 대피했다.
![모로코를 방문한 제주 대표단과 관광객 등이 길거리에서 노숙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30936/art_1694332357004_d5c07b.jpg)
제주 대표팀은 당일 숙소 근처에서 이불 등을 뒤집어쓰고 노숙했다가 이틀째 되는 밤에 신도심권의 다른 안전한 숙소를 구해 머물고 있다.
고 부장은 "120년 만에 발생한 큰 규모의 지진이라 숙박객이나 현지인 모두 당황스러워했다"고 급박했던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는 "현재는 24시간 재난 방송이 이뤄지고 있는데, 산악지대의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희찬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현지 출장중인 직원과 상시 연락을 취하면서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안전하게 귀국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8일 밤늦게 모로코 역사도시 마라케시 남서쪽 약 75㎞ 지점에서 발생한 규모 6.8 지진으로 현재 희생된 이들이 2000명을 넘어섰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