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 등 6개 단체가 모인 '제주농민의길'이 25일 제주도청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30834/art_1692943462733_c6c31b.jpg)
제주도내 농민들이 정부의 농산물 수입개방 정책을 저지하고 농민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해 연대단체를 결성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제주도연합 등 6개 단체가 모인 '제주 농민의 길'은 25일 제주도청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농업 사수, 제주농민의 생존권 사수를 위해 앞장서 투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농업 생산비는 폭등한 지 오래고, 계속해서 문제를 제기해 온 인력난 해소는 요원하기만 하다"면서 "폭염으로 농작업을 잠시 놓아야 하지만 농민들은 밭에 나가 묵묵히 일을 해야 하고, 밭에서 목숨을 잃어가는 농민들도 생겨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기후재난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는 농민들의 생존까지 위협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농민과 농업 대책을 먼저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밥상 물가를 잡겠다며 관세를 낮추거나 무관세로 농산물을 수입하는 데 혈안이 됐다"고 강조했다.
또 "제주도 농민들의 상황은 더 처참하다. 타 시.도의 농업생산비에 더해 추가로 부담되는 해상물류비 문제는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투기 세력에 의한 농지 침탈은 임차료 상승으로 연결됐다"면서 "제주도정도 농민들의 위기 상황에 별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또 "식량자급률 46%, 곡물자급률 19%, 농민은 전 국민의 4%. 이것이 우리나라 농업의 현실"이라면서 "지금이라도 공익적 가치를 갖고 일하는 농민의 삶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수입 개방 농정을 철회하고 우리나라의 식량 주권을 사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마음을 같이하는 제주 농민단체들과 연대한 '제주 농민의 길'을 창립해 첫발을 내딛게 됐다"며 "제주 농업사수, 제주 농민의 생존권 사수를 위해 앞장서 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