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제주시 건입동 제주지방기상청에서 전재목(오른쪽 세번째) 제주기상청장 등 관계자들이 세계기상기구 '100년 관측소'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 [제주지방기상청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30626/art_16880146788006_d96d46.jpg)
제주지방기상청이 부산과 서울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3번째로 세계기상기구(WMO) '100년 관측소' 반열에 올랐다.
제주지방기상청은 29일 올해 스위스에서 열린 WMO 제19차 세계기상총회에서 '100년 관측소'로 선정된 것을 기념해 청사에서 현판식을 가졌다.
제주지방기상청은 1923년 5월 1일부터 제주시 건입동 현 위치에서 100년간 기상관측을 수행해왔다. 부산(1904년)과 서울(1908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3번째로 WMO 100년 관측소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중국(16곳)에 이어 아시아에서 2번째로 많은 100년 관측소를 보유하게 됐다.
![제주지방기상청 WMO 100년 관측소 현판 [제주지방기상청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30626/art_16880146791185_bfdb5d.jpg)
WMO는 수십년에서 수백년의 장기변동을 분석하기 위한 장기관측의 중요성을 알리고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위해 전 세계 WMO 회원국 가운데 100년 관측소를 선정하고 있다.
100년 관측소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관측소 100년 전 설립 △미관측 기간 10% 미만 △WMO 관측 표준에 따라 운영 △지속적 품질 관리 등 WMO가 제시하는 필수 기준 10가지를 충족해야만 한다.
전재목 제주기상청장은 "100년 동안 같은 자리에서 기상관측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도민의 이해와 관심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제주 100년의 고품질 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해 도민의 삶에 필요한 날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큰 전환점이 됐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제주지방기상청 연대별 사진 [제주지방기상청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30626/art_16880153573644_79e37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