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보안검색대 전원 1분간 꺼졌지만 모니터링 시스템 작동 안 해

 

제주국제공항에서 재보안검색 소동이 또 벌어졌다. 보안검색대 전원이 꺼진 줄도 모르고 탑승객들이 보안검색 없이 통과하는 일이 다시 발생한 것이다.

 

지난 4월 초 첫 사고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해 공항공사 측이 자체 개발해 운용 중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아예 작동하지 않았다.

 

9일 제주지방항공청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오후 약 1분간 제주공항 3층 출발장 문(門)형 금속탐지기 1대가 꺼지면서 탑승객 6명에 대한 재검색이 이뤄졌다.

 

다행히 보안검색 직원이 신체 검색 도중 전원이 꺼진 것을 알아채고 6명 중 4명에 대해 현장에서 재검색을 벌였다. 하지만 이미 면세구역에 들어간 나머지 2명은 폐쇄회로(CC)TV 영상을 통해 찾아내야만 했다. 결국 겨우 이들은 찾아내 항공편에 탑승하기 전 신체 검색이 이뤄졌다.

 

제주항공청 측은 단선 과부하로 해당 금속탐지기 전원이 꺼진 것으로 보고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문제는 두 달 전 같은 보안검색 사고가 발생해 재발방지 대책까지 세웠지만 또 다시 사고가 발생한 점이다.

 

앞서 4월 5일 오후 누군가 제주공항 국내선 3층 출발장 문형 금속탐지기 전원선을 건드리는 바람에 장비 1대가 8분간 꺼지면서 탑승객 31명이 신체 검색 없이 출국장을 통과했다.

 

공사 측은 전원이 꺼진 것을 알고 나서도 매뉴얼이 없어 우왕좌왕하다 사고 발생 40분이 지난 오후 8시 25분이 돼서야 부랴부랴 각 탑승구 앞에서 신체 검색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 사이 신체 검색 없이 출국장을 통과한 31명 중 일부는 그대로 항공편을 타고 제주를 떠났다.

 

공항공사 측은 그 뒤 문형 금속탐지기 전원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고 김포공항과 제주공항에 우선 설치해 운용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이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공항에 설치된 모니터링 시스템은 CCTV가 문형 금속탐지기 전원 상태를 인식해 금속탐지기 전원이 꺼지면 알람이 울리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하지만 조도 등에 따라 전원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청 측은 "지난 4월 제주공항 출발장 금속탐지기 전원이 꺼진 사고 이후 대응체계를 만들고, 공항 측에 금속탐지기 등 보안장비 관련 전원을 수시로 확인하도록 지침을 내렸다"며 "보안검색 직원이 전원이 꺼진 사실을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청 측은 "다만 현재 운용 중인 문형 금속탐지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보완할 부분이 있어 금속탐지기 전선을 통해 전원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시스템을 문형 금속탐지기마다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